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수강후기

[71회 왔을 때 4고 6억 벌조 아처] 임장하고 임보 쓸 땐? 우선순위대로!!

25.10.15

실전준비반 - 단 한 번의 투자로 1억 버는 임장∙임장 보고서 노하우

안녕하세요?

 

바른 방향으로 투자하는 아처입니다.

2강에서는 투자로 연결되는 임장과 임보쓰기에 대해 권유디 튜터님이 알려 주셨습니다.

 

투자하기 위해 임장 단계별로 어떤 목적성을 갖고 임해야 하는지와 그 결과물은 어떻게 나타내야 하는지 단계별로 강의해 주셨는데요. 재수강자에게는 그간의 임장과 임보에서 부족한 부분을 채워가는 시간으로 만들라고 주문하셨습니다. 강의의 시작과 끝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우선순위였습니다.

 

분임의 목적?

분위기 임장은 땅의 가치를 파악하는 시간이고 땅의 가치는 상권과 역을 중심으로 그 편리성에 따라 우선순위를 파악하라고 하셨습니다. 

 

임보 쓰기

지도를 많이 보면서 임장지와 친숙해지면서 입지를 통해 가치 우선순위를 매기라고 하셨습니다. 

 

가치있는 땅이란?

혐오시설이 없어야 좋은 땅이란 얘기를 강의에서 많이 들어서 좋은 급지의 혐오시설들을 어떻게 봐야 하는지도 알려 주셨는데 이 부분은 솔직히 여전히 물음표입니다. 

 

수요 관점에서 생각하기

땅과 단지의 가치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은 수요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입니다. 외부의 수요를 끌어들일만큼 입지 선호도가 있는 곳인지? 그러려면 비교 평가할 지역들, 단지들이 많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여기보다는 저기에 살고 싶다는 우선순위를 적용해 봐야겠습니다.

 

가치 있는 호재 찾기

호재보다 물론 입지와 시장 분위기를 먼저 보되 같은 조건일 땐 호재도 챙겨야 한다고 하셨는데 가장 큰 호재는 일자리와 교통이라고 하셨습니다. 환경 개선이 되는 곳들도 이미 좋은 위치인 곳을 봐야 일석이조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직 호재 영향이 반영되지 않은 곳을 타게팅하라고 언급하셨습니다. 

 

단지 임장시 포인트

단지 임장하면서 지도로 봤을 때 더 좋은 입지와 가격에 왜곡이 있을 땐 임장을 통해 확인하라고 하셨는데요. 평형구성이나 단지 컨디션이 때로 입지를 넘어설 때가 있다고 하셔서 임장과 임보를 잘 보완해서 투자할 저평가된 물건을 찾아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적용할 점

단지임장할 때 바로 우선순위를 정하면 효율적으로 임장할 수 있겠다.

사전 임보와 임장 후 단지 분석에 들이는 시간 배분을 잘 해야겠다. 이 부분이 너무 어렵다. 

 

과제?

한땀한땀의 한계를 어떻게 해결할까? 단지 개수에 압도 된다. 시세와 단지분석 어떻게 좀더 효율적으로 하지?

반복해도 익숙해지지가 않는데. 앞마당 관리까지 해야 하니 보통 일이 아니네.

덜커덕거리는 부분이 시세표 작성과 시세 지도와 시세그루핑이고 단지분석 때는 늪에 빠져 버림. 앞마당 시세는 어떻게 매일 할 수 있지? 이 부분은 강의를 들어도 해답이 안 나온다.


댓글


아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