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부동산Q&A

상급지인데 저렴한 단지 vs 기존 예산에 맞는 급지

25.10.15

 

안녕하세요!

내집마련기초반 수강생입니다.


너나위님이 말씀주신대로 일단 예산을 정하고, 매수가 가능한 급지를 정리해보았는데요.

급지별 단지를 정리하다보니 궁금한 점이 생겨서 남깁니다.

 

예를들어 제 예산으로 가능한 곳이 서울 3~4급지라고 가정했을때,

서울 2급지에 해당 지역 평균 가격보다 저렴한 단지가 있고(위치적 하자가 없다면) 무조건 급지가 높은 곳의 아파트를 매수하는게 나은걸까요?


아니면 급지가 높은데 저렴한 이유(e.g. 송파구 풍납동)가 있을테니.. 3~4급지 단지를 매수하는게 나은걸까요

 

 

입지가 최우선이라고 하셨는데,

흔히 서울 상급지라고 불리는 곳에도 가끔 상대적으로 저렴한 단지들이 있길래 궁금해서 남깁니다.

e.g. 마포구 A단지 세대수 300 vs 관악구 B단지 세대수 1000 (강남접근성이 동일하다고 가정) 요런 케이스엔 어떻게 비교평가를 해야할지 어렵더라구요..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부주낙낙
25.10.15 22:25

안녕하세요 내김치마련님 :) 고민하시는 것은 너무나 자연스럽게 마주하는 궁금증이라고 생각합니다. 저 또한 그랬구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그럴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다입니다. 많은 분들이 말씀하시는 어떤 아파트이냐에 따라 다르다. 혹은 단지 vs 단지로 판단해야한다라는 얘기와 같아요. 이런 고민이 드는 아파트들의 많은 경우는, 위치라는 입지가 다소 떨어지더라도 아파트가 신축이거나 혹은 주변 인프라가 정말 좋아 지역에서 사람들이 많이 좋아하는 경우가 그런 것 같아요. 2급지 입지 아쉬운 구축과 3급지 대장급의 단지가 그런 예시가 될 수도 있구요. 사실은 너무 많은 단지들의 케이스가 다양해서, 이런 경우에는 무조건 이런 원칙과 기준이 있다라고 할 수는 없다고 생각해요. 다소 어렵게 느껴지실 수도 있을 것 같아요. 나의 자산 운영계획에 따라서도 선택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강의에서 배우신 내집마련 아파트 가치를 보는 법들을 배우셨을겁니다(강남 물리적 거리, 교통 접근성 등등). 이런 것들을 다 적용해본 후에도 헷갈릴 때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것은, "시간이 장기적으로 지났을 때, 어떤 아파트가 더 좋을까?" "시간이 지나면 더 좋아질 아파트는?" 이라는 입지에 대한 장기적 관점을 생각해보기도 하구요. 혹은 하나의 선택이 다른 아파트를 압도하는가?라는 생각도 해봐요(비슷한 아파트끼리의 비교일수도 있기 때문이에요) / 이해를 돕기 위해서 다소 길게 말씀드리기도 했네요ㅎㅎㅎ헷갈리는 것도 당연하고 너무 좋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해보면 좋을 것은 그렇게 선정한 단지를 한번 방문해보는 것도 추천드려요. 실제로 동네를 방문하고, 아파트에 들어가보기도 하고, 매물도 보면 생각보다 잘 풀릴 수도 있습니다. 아무쪼록 좋은 내집마련 하시길 응원하겠습니다. 하시다 또 궁금하신 것들 있으면 qa게시판에 많이 남겨주세요^^ 파이팅입니다!

아오마메
25.10.16 09:40

내김치마련님 안녕하세요 :) 상급지 선호도낮은단지 VS 하급지 선호도높은단지 비교에 대해 고민하고계시네요. 앞서 부주낙낙님이 말씀주신것처럼 단지마다 다를 수 있어서 명확히 말씀드리기 어려운 부분은 있지만, 실거주를 고려하고 계시다면 가장 중요한 부분이 거주만족도라고 생각됩니다. 예를들면 직장과의 거리, 거주환경(역세권, 자녀학군, 연식 등)이 있는데요. 그다음으로 나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요인들을 고려해서 결정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저는 가치(선호도)를 판단할때 크게 3가지를 보고있는데요 -강남과의 물리적거리 & 소요시간(대중교통) -주변환경(유해요소가 없는지 등) -전고점 (지역의 평균가격보다는 21~22년에 가장 높게 거래된 가격을 보시는 게 좋습니다) 이부분 참고하셔서 내집마련 성공하셨으면 좋겠네요. 응원드리겠습니다!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