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투기 31기 38조_듀크탱크] 2주차 강의 후기

25.10.21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지방 입지를 바라 볼 때 특별한 주안점

 

직장

 

대기업의 개념이 직원 500인 이상의 양질의 고소득 일자리가 많은 곳임을 기억해야겠다.

지방에서는 직장까지 이동하는데 대부분 30~40분이면 가능하기 때문에

직주 근접의 요소가 주요한 요소이지만 신축의 등장에 따라 선호도가 움직일 수 있음을

이해하고 있어야겠다.

 

학권

 

지방에서의 학군지는 우수한 학교학원가의 양과 질 뿐만 아니라

부자 커뮤니티가 있는 곳이 중요함을 배울 수 있었다.

그 지역에 중학교 학업성취도율이 95%가 학교가 많으면 

그 만큼 전반적으로 학군의 요소로 끌어들일 수 있는 수요가 많겠지만

그 지역에 90% 내외의 학교가 한 곳만 있더라도

그 학교를 주변으로 더욱 뾰족하게 부자 커뮤니티가 형성되며

성벽을 쌓듯이 시세를 형성한다는 것을 기억하고 있어야겠다.(ex. 광주 봉선동)

 

학군

 

지방에서 신축 대단지들이 모여 있는 택지를 사람들이 얼마나 좋아하는지 배울 수 있었다.

최고가 단지의 공통점신축 대단지 아파트가 모여 있는 곳일 경우가 많다.

 

공급

 

지방은 공급에 따라 전세가가 영향을 받고

전세가에 따라 매매가가 따라가는 경우가 대부분의 상황이었다.

현재 지방에 공급이 줄어드는 곳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공급이 정리되면서 전세가 상승하고

전세가 상승에 따라 매매가가 반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교통

 

지방에서는 부산 정도가 역세권의 의미가 있음을 기억하고

차량, 지하철, 대로, 터널, 교량 등으로 중심지에 얼마나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지

고려하는 것도 입지 가치에 반영될 수 있음을 기억해야겠다.

 

울산과 같은 부동산 시장의 흐름

창원부산대구에도 머지 않아 일어날 수 있음을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겠다.

 

앞으로 최소 2년 간 앞마당을 매달 하나씩 늘려가면서

수도권지방까지 나의 앞마당으로 만들도록 해야겠다.

지방에서는 입지의 가치를 형성하는 요소

지역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그 중요 포인트가 무엇인지

생각하고 정리할 수 있는 실력을 키워야겠다.


댓글


듀크탱크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