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실전준비반 초수강생인 부린이입니다.
강서구 방화동 도시개발2단지,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관악(성원), 중계주공8단지를 비교해보았습니다!
연식, 전용면적, 구조(방2/화1/복도식)은 거의 동일하고, 현재 매매가도 비슷합니다.
직장, 교통, 환경, 학군의 등급을 매기고 나름대로 입지순위를 매겨보았는데
제가 매긴 순위와 전고점이 매우 다르더라구요 ㅠ_ㅠ…….
저는 일단 직장, 교통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직장A 교통A인 방화동을 1순위로 두었습니다.
그리고 비산동과 중계동이 직장B 교통A로 동일하여, 강남과 더 가깝고 환경 등급이 더 높은 비산동을 2순위로 두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중계동을 3순위로 두었습니다.
그런데 전고는 중계동 > 방화동 > 비산동 순서더라구요 ㅠ_ㅠ… 또 전세가는 비산동이 더 높습니다…
그럼 예를들어 제가 이 셋 중에 매매를 한다고 하면(현재는 규제지역이라서, 가정해본 상황입니다!)
중계주공8단지가 전고대비 가격이 가장 낮으니 가장 저평가라고 봐야될까요…..?
아니면 방화동이 직장, 교통 등급이 더 나은데 가격이 비슷하니 저평가라고 봐야될까요…..?
둘 다 아니라면… 제가 뭘 더 봐야할까요 ㅠ_ㅠ………..
그리고 방화동과 비산동만 떼서 보자면 비산동이 강남과의 거리가 훨씬 가깝고 소요시간도 적고, 방화동은 임대단지라는 디메리트가 있는데 비산동이 왜 전고가 1억이나 낮은지 잘 모르겠습니다…. 전세가도 비산동이 더 높아서 오히려 거주하기는 비산동이 좋은거 아닌가 싶습니다…
바쁘시겠지만 고견 남겨주시면 열심히 공부해보겠습니다!!!!!!!
미리 감사드립니다!!!!!!!!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안녕하세요 coenffl님 ~!! 방화와 비산과 중계 비교평가중이시군요!! 강의에서 배우신대로 비교평가를 너무 잘 해보신 것 같습니다ㅎㅎ 이 세 지역의 공통점은 강남까지의 거리가 멀어 교통이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전용49인 단지 특성상 1,2인 가구가 많이 살 것 같네요. 노원구 중계동의 경우 나머지 두 지역과 다른 점은 은행사거리 학원가가 매우 가깝다는 점입니다. 중계동은 서울 강북 지역에서 여러 지역의 사람들이 아이의 교육을 위해 찾는 곳이라 수요가 있습니다. 동북선 호재가 있고 게다가 안전진단 상태이긴 하지만 재건축 호재가 있네요!! 그에비해 강서구의 도시개발2단지는 인식이 좋지 않은 임대가 대부분인 아파트이고 주변 환경이 쾌적하지 않습니다. 대신에 5호선 방화역은 도보권이고 업무지구인 마곡과 가깝습니다. 강남보다는 마곡 일자리 수요가 있겠네요. 동안구의 성원 단지는 4호선을 도보권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부흥초중고가 모여있고 강남까지 가장 빠르게 갈 수 있습니다. 전고점은 21년7월 6.16억으로 확인됩니다 방화의 전고가 높게 찍힌거는 상승장 끝자락에 서울의 기대심리가 있지 않았을까? 조심스럽게 생각해봤지만 당시에 매물이 없었을수도 있고 전화임장을 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비교평가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coenffl님:) 방화, 비산, 중계를 비교평가하고 있으시군요!! 배운대로 구체적으로 비교평가하고 있으신 점 멋지십니다. 위 쪼러쉬님께서도 이미 답변을 잘 주셨지만 저도 보충해서 답변을 드려보자면, 각 단지의 선호도를 파악하기 앞서 해당 지역/생활권에서 가격을 결정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선호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고민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먼저, 노원구는 교통도 중요하고 중계동의 경우 학군도 중요하게 볼 수 있는데요. 중계8단지는 비록 비역세권 구축이지만 중계학원가와 인접하다는 점에서 메리트가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강서는 직주근접과 역세권이 중요한 곳이라 생각되는데, 역시나 비역세권이고 구축이라는 점에서는 아쉽지만 강서구 내 위치한 직장근처에 인접하다는 점에서 메리트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동안구는 교통과 학군이 중요한 곳인데 성원은 비역세권+비학군지로서 아무래도 다른 곳에 비해 아쉽습니다만 균질성있고 초품아라는 점에서는 메리트가 있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지역의 가격결정요소'와 단지가 가지는 장단점을 비교해보면 단지 비교평가에도 도움을 받을 수 있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이해되지 않거나 더 궁금한 사항이 있을 때는 저도 전임과 매임을 하여 확인하는 편입니다:) coenffl님께서도 전임과 매임을 통해 생각을 검증하는 단계를 경험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화이팅입니다!
실전준비반 수강하시며 꼼꼼하게 비교평가 하시고 계시군요!! 멋지십니다 coenffl님!ㅎㅎㅎ 위에 쪼러쉬님과 잇츠나우님께서 너무 잘 설명해주셔서, 많은 부분 이해를 하셨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단지별 선호도에 대해서 판단이 어려울 경우, 저는 "실수요" 가치에 대해서도 함께 생각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전세가 = 실수요 가치라고 볼 수 있는데요, 보시면 말씀해주신 세 단지의 전세가가 차이가 나는 것을 보실 수 있으실겁니다. 공급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이 단지를 찾는 사람들의 수요가 높을 수록 실수요 가치도 높은 것이라고 연결지어 생각해볼 수 있기 때문에, 전세가의 차이 관점으로도 비교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 의견남깁니다!ㅎㅎ 꼼꼼하게 성장해나가는 coenffl님 응원합니다~!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