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투자공부인증

[재테크기초반 베댄아] 오프닝 강의 후기 "투자에 있어 가장 큰 리스크는!? - 준비되지 않은 내 자신!"

25.11.02

안녕하세요,

"Better than I am"

오늘보다 더 나은 내일을 꿈꾸는 베댄아 입니다.

 

2호기를 위해 고군분투하다 10.15 규제에 막혀 정신이 너덜너덜해져서, 

다시 환경으로 돌아와 초심을 다져보고자 신청한 재테크기초반 오프닝 강의 후기입니다. 

 

지난 재테기 라이브 코칭 때 나온 질문을 통해 너나위님께서 전해주신 이야기 들 중 가장 와닿은 부분들 위주로 정리해볼까 합니다. 

 

리스크 헷징과 분산투자

저도 돈이 뭔지, 투자가 뭔지, 귀만 팔랑거리던 시절..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 는 주워들은 소리는 있어서, 종잣돈을 모은답시고 적금도 붓고, 예금도 붓고, 주식도 쪼개서 넣고, 이거 저거 해보았던 경험이 있어서 그런지 가장 와닿았던 질문과 너나위님의 인사이트였지 않나 싶은데요. (!?)

 

리스크를 논하지 전에, 분산 투자의 본질을 알아야 한다. 

투자를 함에 있어 가장 큰 리스크는 준비되지 않은 내 자신이다. 

 

투자로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이 있는데, 

 

  1. 인풋(시간, 노력, 희생, 멘탈 싸움)

 

을 알려주셨는데 그 중 3번이 가장 크게 와닿았던 것 같습니다. 

 

지난 몇 년간 돈 공부를 시작하고, 알파 투자를 해나감에 있어 “인풋”에 대한 중요성을 온 몸으로 겪고 깨달와 왔기에, 그리고 인풋의 시간을 견뎌내며 성공에 한 걸음 빨리 닿아가는 동료들을 보고 있기에, 가장 울림이 있었던 대목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그리고 이제 막 돈 공부를 시작하고 성장하는 사람들에게 분산투자는 맞지 않다는 것, 지금은 집중 투자를 해야 한다는 점도 다시 한 번 더 리마인드 할 수 있었습니다. 

 

몇 년 전 너바나님과 너나위님, 코크드림님 3분이서 월부 유튜브를 운영하실 당시, 너바나님께서도 같은 말씀을 해주셨는데요…

 

분산 투자는 가지고 있는 자산이 많은 사람들이 리스크 헷지를 위해 하는 거지, 우리같이 시작하는 사람들은 맞지 않다고 알려주셨어서 그 뒤로는 제가 그나마 가장 잘 할 수 있고, 오래 할 수 있는 분야에서 공부하며 성장하고 있고 그 덕분에 제가 꿈꾸는 삶에 아주 조금씩 다가가고 있기에, 지금은 집중 투자해야 할 때임을 다시 한 번 더 명심할 수 있었습니다. 

 

명심, 또 명심 →  분산투자는 내가 숲을 가꾸었을 때 하는것! 이제 막 새싹을 튀우는 나는 무조건 집중!! 투자 할 것!

(참고로, 버핏 할아버지도 분산 투자 하지 말고 집중 투자하지 마라~고 하셨다죠!?)  

 

종잣돈을 불리는 법

 

사실, 이번에 재테기를 신청하게 된 계기도 부동산 투자를 위해 모으는 종잣돈을 어떻게 하면 좀 더 효율적으로 모을 수 있을까? 라는 의문에서였는데, 단순히 돈을 불리는 것을 배우기 전에 알파투자와 베타투자를 구분하는 것부터 이해해야하는 구나를 알 수 있었습니다. 

 

부동산 투자는 알파투자다. 종잣돈으로 뭘 더 불릴 생각 하지 말고 그냥 현금으로 모으자(적금, 예금…)”

 

그리고 일반인은 기대수익만 보지만, 고수들은 리스크 대비 기대수익을 본다

 

알파 투자 전 스스로에게 물어보는 질문

 

  1. 적정한 범위인가?
  2. 가치 대비 비싸지 않은가?(서울) 혹은 싼가?(지방)
  3. 장기 보유에 적합한가? 혹은 목표 매도가에 도달 할 수 있는가?

 

지금의 나태함과 안락함, 편안한 마음을 자신이 가진 목표의 크기만큼 희생해야 한다. 

 

10.15규제와 함께 메타인지가 되었던 지난 달

내 지난 과거의 어떤 행동이 10.15 규제와 함께 투자를 무력하게 만들었는지..절절히 깨달았기에..

 

너나위님의 오프닝 강의를 들으며 투자자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초심을 다잡을 수 있었고, 조금 돌아와 다시 시작하는 돈 공부이지만 앞으로 가는 알파 투자 인생에 단단한 초석이 되어줄 시간을 만들 수 있을 것 같은 11월이 기대되는 오프닝 강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베댄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