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수강후기

[지투26기 가을맞이 국송2 주우러 다니는 다ㄹ6쥐들] 지방투자실전반 성장후기 와이케이91

25.11.03

 

 

안녕하세요.

 

질문하며 성장하는 와케입니다.

 

10월 지투 실전을 통해 새로운 지방 앞마당의 첫 깃발을 심었습니다.

한 달 간 독/강/임/투를 하면서 어떻게 성장했는지 복기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강의]

 

1주차 잔쟈니 튜터님 강의를 통해 각 지방 시장 별로 가격결정요소를 구체적으로 나눠주셨기에, 이번 임장지에 적용해서 단지별 가격결정요소를 확인하였고, 가치가 어떻게 가격에 반영되는지 확인하였습니다. 서울/수도권 시장과 다르게 특정 입지요소들이 가격이 반영이 되기 때문에 각 지역별 선호요소를 아는 것이 선명한 앞마당을 만드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2주차 프메퍼 튜터님 강의를 통해 지역내, 지역간 비교평가 방법을 배우게 되었고, 특히 지난번 강의에서 가설검증을 배우고 적용한 것을 조금 더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검증 과정이 모두 맞지 않겠지만 가설을 세우고 검증하는 과정에서 투자 범위를 어디까지 볼 수 있을지와 투자 우선순위를 어떻게 잡고 가면 좋을지 확인 할 수 있었기에 확신을 가지고 투자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습니다.

 

4주차 윤이나 튜터님과 재이리 튜터님 강의를 통해서 앞마당을 관리하고, 실전 계약 프로세스를 배웠습니다. 앞마당 관리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 임보에 적용하여 전수조사+앞마당 one page와 시세트래킹 후 시장 확인 방법을 조금 더 업그레이드 해보겠습니다.

 

5주차 마스터 멘토님 강의에서는 직장인 투자자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어떤 어려움이 있어도 투자는 지속해 나가는 마인드와 투자는 미래가 보장 받을 수 있느냐로 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에서 내 돈으로 할 수 있는 것 중에서 제일 좋은 것을 사는 것임을 마음에 새기게 되었습니다. 투자를 진행할 때 모든 변수를 고려할 수 없기 때문에  규제에 밀려 기준없이 아무거나 사는 투자자가 되는 것이 아니라 시장 상황을 언제든지 바뀔 수 있기에 할 수 있는 투자를 해나가면서 돈을 많이 버는 것보다 각 시장에서 살아남는 투자 전략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임장]

 

 

10월은 연휴, 가족여행, 유리공 등의 이슈로 인해 가장 어려운 한 달 이었습니다. 모든 것이 완벽할 때 투자를 할 수 없듯이 모든 것이 완벽한 스케줄에 독/강/임/투를 할 수 없다는 것을 인지하고 최대한 임장지로 몸을 옮겨 놓았습니다. 하기 싫은 마음이 들 때도 몸을 일단 부동산 앞에 두었고, 여기까지 왔으니까 하나만 더 해보자. 행동하는 투자자이니까 매물 하나만 더 해보자 라는 생각으로 한 달을 지속해 나갔습니다. 어렵지만 전임/매임도 목표한 수치만큼 거의 해내었고, 그만큼 선명한 앞마당을 만들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워크인을 통해 단순히 매물만 물어보는 것이 아니라, 부사님과의 대화에서 선호도 파악을 하고 같은 투자금이면, 같은 매매가면 어떤 단지부터 봐야하는지도 의견을 같이 나누어 보았습니다.

 

 

[투자]

 

 

앞마당을 만들면서 진짜 투자금만 있으면 투자하고 싶은 물건이 너무나도 많았습니다. 또한 올 초까지만 해도 투자금에 안들어오던 단지들의 전세가가 올라오면서 투자 범위에 들어오는 것도 보면서 계속 시장 안에 있어야 기회를 잡을 수 있구나 라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10월 한 달, 힘들 점들도 있었지만 그럼에도 해낸 스스로를 칭찬하며, 느리더라도 뚜벅 뚜벅 해야 할 것들을 해내는 투자자가 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한 달 동안 국송이 튜터님께 많은 것들을 배웠고, 이제는 배운 것을 임장/임보/투자에 녹여내는 투자자로 성장하겠습니다. 람쥐들도 모두 수고하셨습니다!!! 

 

우린 해냈다!!

 


댓글


다강맘
25.11.03 14:27

와케 람쥐님~ 우린 해냈습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

응답이
25.11.03 20:35

우린 해냈다!!! 와케님 고생해써영!!!

시드s
25.11.04 09:18

또 해냈다!!!!! 와케님 고생 많으셨습니다!!!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