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커뮤니티에서 월부 선배님들의 인사이트로 늘 도움이 많이 얻고 있습니다.
종잣돈 3~3.5내외로 부산 앞마당을 만들고 있고 비규제지역은 서투기로 알아갈 예정입니다.
부산에서 눈 여겨본 준신축단지인데 27년에 차로 5분 거리, 지하철 2정거장 거리에 4000세대 아파트가 들어옵니다. 25년 말 혹은 26년 초에 1호기 투자를 한다고 가정하면 대규모 신축이 들어오는 동네는 피해야 할까요?
자모님 소액특강에서 될 수 있으면 신축단지 옆은 피하라고 하셔서 고민입니다.
댓글
우미와현님 안녕하세요~ 부산에서 사람들이 좋아하는 신축 대단지가 입주 예정입니다. 분명히 주변 단지들에 전세가 영향을 주고 재계약 시점에 역전세 위험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해요. 근데 가격이나 기간은 예측할 수 없을 것 같아요. 그래서 저라면 전세 계약 기간을 3년이나 4년으로 해보는 시도를 먼저 할 것 같습니다. 부산이 투자하기 너무 좋은 상황이라 무작정 피하기 보다는 리스크를 햇지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서 시도해볼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우미와현님 안녕하세요^^ 4000세대는 거의 한 마을처럼 들어오기 때문에 말씀하신 것처럼 주변 단지의 전세 세팅, 단기적인 가격 하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저렴하게 살 수 있는가, 역전세 대비를 할 수 있는가, 전세 리스크를 피하기 위해 전세를 2년이 아닌 3년 등으로 계약할 수 있는가를 함께 고민 후 판단할 것 같습니다. 저 역시 공급이 많은 지역에 2년 전세 세팅이 아닌 3년 전세 세팅으로 하여, 역전세 리스크를 줄였던 경험이 있는데요. 무조건 피하는 것보다는 방법을 찾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또한, 종잣돈의 규모가 꽤나 크다면 더 상위 구의 대장부터 좋은 것부터 하나씩 살펴볼 것 같습니다^^ 또는 수도권도 함께 지켜보는 것도 방법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우미와현님 안녕하세요 :) 부산 투자를 고려하고 계시는군요. 4000세대면 정말 큰 규모이기 때문에 역전세 등 리스크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투자시기를 25년 말~ 26년 초로 보고계신다면 입주 6개월 이후 시점이기 때문에 무조건 피하기보다는 충분히 투자로 검토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앞서 다른 분들이 말씀주신것처럼 3년 전세 세팅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구요. 오히려 세낀물건을 투자하신다고 하면 만기시점이 27년상반기를 피하시는 게 좋을것 같습니다 ! 투자 화이팅입니다 우미와현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