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월부챌린지

[그린쑤] 경제신문요약(11월) #04_10·15 부동산 대책으로 인한 수도권 정비사업의 위기(25.11.04)

25.11.04

 

[요약]

10·15 부동산 대책으로 인한 수도권 정비사업의 위기

 

• 10·15 부동산 대책으로 인해 수도권 정비사업이 큰 위기에 직면했으며, 특히 조합원 지위 양도 금지 및 이주비 대출 축소는 재건축, 재개발, 리모델링 사업의 추진 동력을 약화시키고 있습니다.

 

조합원 지위 양도 금지 조치는 조합원들이 사업에서 빠져나갈 길을 막고 늘어나는 분담금 부담을 그대로 떠안게 하여, 비강남권을 중심으로 사업 속도 저하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주비 대출 한도 축소는 주택 가격 10억원 기준 최대 2억원까지 대출 가능 금액이 줄어들어 조합원들의 자금 조달을 어렵게 하며, 이는 이주 지연 및 철거, 착공 일정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이러한 규제 강화는 강남 3구를 제외한 노원, 도봉, 강북구 등 비강남권 정비사업에 직격탄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사업 초기 단계 단지는 조합 구성 무산 위험이 크고, 관리처분인가를 받은 곳들은 분담금 급증으로 이주 시점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건설 업계 역시 수도권 정비사업 수주 비중이 높은 만큼 사업 지연이 곧 매출 감소로 이어져 실적 부담이 커질 것으로 전망되며, 수익성이 낮은 단지부터 시공사 선정 무산 또는 입찰 연기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 정부는 재건축·재개발 지원 의지를 밝혔으나, 규제 지역 확대와 대출 제한 등 실제 정책이 정비사업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비판이 있으며, 전문가들은 대출 규제 완화와 금융 지원 보완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https://v.daum.net/v/20251103120145365?x_trkm=t

 

 

내 생각)

  • 정부에서는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을 토대로 향후 공급을 늘릴 예정이라고 했지만, 실제 규제 정책은 반대 방향으로 가고 있음
  • 사업성이 높은 상급지 재건축을 제외하고는 사업이 지연되거나 무산될 확률이 큰 상황
  • 정비사업만 차별해서 지원할 수는 없겠지만, 공급 상황이 더 악화될 가능성이 큼
  • 이대로는 전세난, 공급 부족 등으로 집값이 오를 가능성이 아주 큰데, 정부에서 다음 대책이 언제 나올까? 요즘 계속 이런 기사가 많이 뜨는데, 기사를 요약하면서 시장상황을 계속 지켜보는 것이 필요함

 

 

챌린지에 참여하는 멤버에게 응원 댓글을 남겨주세요. 혼자가면 빨리 가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갈 수 있어요.🚶‍♀️🚶‍♂️


댓글


그린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