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만원 아끼는 부동산 지식은?
[초보자 BEST]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너바나, 주우이,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29개월 아기엄마 중 최고가 되고싶은 아오마메입니다.
사전임장보고서의 핵심 !
바로 인구와 소득 인데요.
그런데 하나의 데이터만 보면, 오류에 빠질 수 있습니다.
과거의 제 임보를 예시로 설명드려볼게요.

📌동대문구 용신동(용두+신설) VS 회기동
두곳 모두 자녀인구(영유아,10대) 비율이 적어,
1인가구 생활권이라고 적어두었는데요.
임장을 가보니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회기동은 실제로 애들을 보기 어려웠지만,
용신동은 단지내 애들이 많이 보였거든요.!
임장을 다녀와서 다시 보니,
용신동은 동대문구에서 인구수 1등 !!!
자녀 인구 비율이 적은 건 맞지만,
절대값인 인구수로 보자면
영유아, 10대인구가 전농/답십리 생활권에 밀리지않습니다.
용두동에 아파트 자체가 많지않은데도
애키우는 가족단위 거주민이 많다는 게
이 데이터만 봐도 느껴지더라구요 😊

📌고소득자비율
울산(13.3%) > 광주(12.0%) > 대전(10.6%) > 대구(10.2%) > 부산(9.3%)
대한민국 제2의 도시 부산!
그런데 고소득자 비율이 가장 낮네요..
"울산, 대구에 비해서 부산엔 부자가 적은가?"
저도 이 데이터만 보고
생각보다 부산에 고소득자가 없네.… 라고 생각했는데요.
반면, 매매평당가는 가장 높은 것을 보고
뭔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번에도 인구수가 핵심이었는데요 !
300만(부산) > 200만(대구) > 150만(대전, 광주) > 100만(울산)
실제 고소득자 인구수를 따져보자면
부산 약 27만명, 울산 13만명
오히려 부산이 2배 이상 많습니다.
절대값과 함께 보면
이렇게 완전히 다른 결과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지역개요 작성 전
꼭 알아야 할 한 가지는 “연결”입니다!
이번 달 임장보고서에
3가지 포인트를 연결해서 작성해보시면
조금이나마 도움되실거라 생각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