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상깊은 점
지금은 과거의 2017년 시장과 같다. 상승이 가파르게 일어나다가 이번규제고 끝나버린것 같은,, 그런 기분이 들기도 했다. 하지만 지금의 시장은 2017년과 같다. 유디님이 설명해주신 과거의 시장흐름을 들어보니 지금은 사이클에서 완전 초반일 뿐.
힘들고 지치고 좀만 덜하고 싶고 쉬고싶다고 해서 정말로 그렇게 쉬엄쉬엄,대충대충 해버리면 과거의 2018,2019같은시장이 왔을때 땅을치고 후회한다. 지금 안해놓으면 기회가왔을때 못잡고 10년을 또 기다려야 한다.
투자금 없다고 쉬엄쉬엄하지말고 언제 규제가 풀릴지, 언제 시장상황이 달라질지 아무도 모른다. 앞마당 찐하게 늘리자.
2. 목표를 바라보자.
문제가아닌 목표를 바라보자. 그리고,,,,
1호기를 투자한 후 투자공부에서 손을 놓는 사람이 있다고 많이 들었고 나고 9,10월 정말 많이 한가해지고 늘어졌다.
목표를 바라보자는 관점에서 보면,,,,, 내 인생에서 한 채만 투자하는 것이 내 인생이 목표인가,,,? 아니다? 나의 장기적목표는 조기은퇴. 1호기 투자했다고 해서 조기은퇴가 가능한가? 아니다!! 목표를 향해 계속하자 꾸준하게.
3. 비규제지역
추가규제가 진행될 경우 그 이하급지 분위기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투자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투자본질 저평가, 저환수원리 생각하며 판단을 잘 해야한다.
4. 저환수원리의 디테일
시장의 상황에따라, 그리고 조금 더 디테일하게 저환수원리에대해 유디님이 설명을 해주셨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어려우면서도 큰 깨달음이 있었떤 부분은 수익성 측면이다.
수익성이란 투자금으로 내가 원하는 수익률을 낼 수 있을까 인데,,, 이전의 시장까지는 부동산의 흐름이 전세가율이 오르고 투자금이 줄어드는 것을 기다리는 것이 가능했는데, 지난 상승장(22)에서 부동산의 폭발적인 흐름이 있었으므로 부동산은 투자재로서의 가치가 더 커졌다. 그래서 수익률 측면에서 투자금을 줄이는 방식은 어렵게 되었다.
따라서 오히려 더 심플하게, 투자금안에 들어오는 단지 중 저평가여부 절대적 저평가인것(전고 아래)의 가격 에서 상대적 저평가(가치대비 싼 것)중 가장 좋은 것을 골라야 한다.
적용할 점
그렇다면 이번달 나의 목표는,,? 임보 102장→ 깔끔하게 110장 쓰자
매임 하루에 16개→ 하루에 25개 최대
매임 총 갯수 37개→ 45개
2. 무엇을 상상하든 그 이상의 규제, 시장상황이 갑자기 발생할 수 있다.
이번 규제는 빡세긴하다 유디튜터님도 예상하지 못한 수준의 높은 규제. 이처럼 규제, 시장은 언제 변할 지 모른다. 하지만 투자의 본질을 잊지 말자. 실력을 기르자.
이번 강의에서 나왔던 지난 시장에서의 흐름을 잘 기억하고 언제가 주의해야 할 구간인지, 언제가 기회인지, 또 지금은 과거의 언제와 같은 시장인지 생각하며 투자하자.
3. 결론 저환수원리 수익성 판단측면에서 수익률+ 비슷한 가치의 다른 앞마당 매물 가져와서 현재가 판단하는 부분 넣어보기.
(지금의 시장에서는 수익률 뿐만아니라 가치대비 싼것 자체가 수익률과 연관이 있기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