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일단 하는 투자자, 케빈D입니다.
이번 실전반 1강은
권유디 튜터님께서 도와주셨는데,
10.15 규제 대책 이후
다소 혼란스러운 수도권 시장에 대해
현재 상황을 정리해주시고
그에 맞게 우리가 가져야 할 태도나 방향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해주신 강의였습니다.
사실 아직은 당장 투자할 수 있는 투자금이 없기 때문에
나와 먼 일이라고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이번 강의를 통해
기회를 언제든지 잡을 수 있는 투자자가 되어야겠다고
마음을 잡을 수 있었습니다.
현재 시장에서 우리가 가져야 할 태도

튜터님께서는
현재 시장 상황을
가격, 금리, 수급, 분위기
측면에서 자세하게 설명해주셨는데
지금 시장에서 우리가 가져야 할 태도에 대해
‘지금은 드라이브를 걸어야 할 때’
라고 표현을 해주셨습니다.
(튜터님의 투자 계획까지도..!)
더군다나 강력한 규제의 바람이
몰아치는 상황에서
투자에 대한 장벽이 좀 더 높아졌을지라도
그럴수록 우리는
가치 있는 자산을 찾는다는 본질에 집중해서
‘보통 사람’들이 우왕좌왕하는 분위기에
덩달아 휩쓸리지 않도록 주의해야겠습니다.
지양해야 할 마인드
: 규제에 막히거나 자금이 충분치 않아서 좋은 매물 못 샀는데 그게 더 많이 올라서 괴로워한다.
지향해야 할 마인드
: 현재 주어진 상황 속에서 최선의 전략으로 매물을 선택하고 그 안에서 수익을 극대화하려 노력한다.
이 부분은 이번 실전반을 통해
처음 알게 되었던 개념이었습니다.
저는 월부 입성이 23년 말이었는데,
그 당시 시장은
하락장 이후 소폭 반등장이었고,
저와 동년배(?) 투자자분들이
당시 가장 많이 들었던 말 중 하나가
‘전고 대비 하락률’ 이었을 겁니다.
전고점은 분명
해당 자산의 응축되어있던 '가치'가
상승장을 만나 ‘가격’으로 형성되었던
투자하는데에 있어서 중요한 지표입니다.
하지만 지금과 같은 시장에서는
전고 대비 하락률에 의미를 두기 보단
현재 가격이 전고점에 대비해서
싼 가격인지 비싼 가격인지 판단을 하고
비싸지 않은 가격이라면,
다시 말해 절대적 저평가 구간이라면,
그 중 좋은 자산을 취득할 수 있도록
선호도를 파악하는 데에
심혈을 기울여보겠습니다 !
현재 서울 수도권 시장에서는
전고점 대비해서 회복을 넘어
이미 신고가를 찍은 단지들이 꽤 많고
최근 시장의 짧은 싸이클 특성 상
싸지 않은 가격의 단지들은
그 만큼 하락의 폭이 클 가능성을 인지하면서
불나방같은 투자를 하지 않길
130번 째 다짐했습니다 !
1강부터 너무나도 몰입도 높은 강의해주신
유디튜터님 항상 감사합니다 :))
– 현재의 주어진 상황에서 할 수 있는 것에 최선을 다하기
– 전고 대비 하락률보다, 절대적 저평가 여부를 판단한 후 그 중 좋은 자산을 취득하기
– 그러기 위해서는 선호도 파악을 아주 빠쌲하게 해놔야 한다 !
댓글
케빈D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