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수강후기

재태크 기초반 1주차를 수강하며

15시간 전

1억 만드는 가장 빠른 첫 시작, 재테크 기초반

오늘 아침에 마침 일찍 일어나게 되어 바로 완강했습니다. 완강하고 ‘조톡방 오늘의원씽’을 강의완강으로 적었네요ㅎㅎ 선강의 후원씽! ^^::: 

 

일단 제일 처음 인상 깊었던 게 ‘통장쪼개기’란것을 처음 봤습니다. 제가 저축'률'은 높은 편이었어서 통장쪼개기를 아예 해본 적이 없어서 처음에 굉장히 낯설었습니다. 근데 강의를 듣고 특히 관심이 생겼던 게, 생활비와 활동비를 구분하는 것이었습니다. 전 지금까지 생활비와 활동비를 구분하지 않고 하나로 보고 있었는데, 확실히 구분하게 되었을 떄 저의 지출성향을 알게 되면서 더욱 저축조절이 잘 될 것 같다는 공감을 했습니다. 이 부분을 내일부터 지키면서 한 달간 제 소비 추이를 복기 해볼 생각입니다.

 

한 가지 궁금점은 저축률로 인내 자산을 구분해도 되는 지를 제가 저를 자만하게 될 까봐 조심스럽게 접근했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저축률은 거의 살아오면서 높았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지출을 그렇게 참는 스타일은 아니었습니다. 배달음식도 가끔 시켜먹고 에어컨도 매일 빵빵하게 틀고(전 이게 제일 절제가 안 되더라고요ㅠㅠ) 등등…. 그런데 좀 부끄럽지만, 제가 소득이 좀 높은 편입니다. 

즉, A : 중간소득 - 적은 지출  , B 높은소득 - 중간 지출

A, B 둘다 저축률은 높은 편이니까요. B도 인내 점수가 크다고 평가 받아도 될까요? ^^:: 저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B보다 A분이 더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거든요. A와 B를 구분 안 해도 되는 지가 궁금했었습니다.

 

그리고 조금 아쉬웠던 점은 근로소득자 외에 사업소득자인 경우도 좀더 강의 구성을 해주시면 감사할 것 같습니다(소수자의 외침..ㅠㅠ) 즉, 종소세를 내는 분들의 경우도 구분지어서 설명해주시면 너무 좋을 것 같아요(그래서 자영업자 통장 쪼개기 설명 부분에서 집중해서 본 기억이 ㅎㅎ) 이건 내마기를 들었을 때도 제가 느꼈던 부분이었는데요. 특히 내마기 대출 강의에서도 근로소득자는 세전소득기준으로 은행대출이 나오고 사업소득자는 세후소득기준으로 은행대출이 나오는 만큼, 이 둘을 구분 지어주면 강의의 완성도가 더 높아지지않을까하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댓글


박휘경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