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투자할 수 있는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주우이, 양파링, 잔쟈니, 권유디


안녕하세요, 티안입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작년에 듣지 못했던 규제 속에서 어떻게 투자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배울 수 있었습니다.
투자라고 하면 매수하여 전세를 놓는 형태로만 생각했었는데,
확실히 서울이고 수도권이다 보니 실거주를 통한 투자 형태도 있다는 것을 이번 강의를 통해 알 수 있었습니다.
올해는 내내 지방을 하다보니 서울수도권은 오랜만이었는데,
확실히 접근 방식이나 바라보는 관점이 다른 부분이 있어 그 점이 강의를 들으면서도 재밌었습니다.
현재 할 수 있는 서울/수도권 투자의 모든 것
이번 파트에서는 규제에서 투자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 주셨습니다.
이번 규제에서는 매수시 실거주 2년의 의무가 주어졌습니다.
따라서 투자를 할 수 없다고 생각했었는데,
내가 실거주를 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투자 관점에서 매수하고, 2년 뒤에 전세를 주는 것도 가능하다는 생각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똘똘한 한 채 이외에는 실거주는 투자가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생각을 전환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서울 25개구 및 경기 핵심지역 정리
이전에 강의 들었을 때 서울 25개구 위치를 어느 정도 외운 것 같았는데
역시나 시간이 지나니 다 잊어버린 것 같습니다.
이번 강의를 통해 25개구 위치를 확실히 알 수 있었습니다.
보너스 과제로 주신 25개구를 작성해보았습니다~ 확실히 작성하니 더 잘 외워지는 것 같아요!

가치성장투자 소액투자 전략
현재는 투자금을 모으는 시기이기 때문에 향후 1년간은 소액투자가 가능할 것 같습니다.
그러나 추후에 1호기를 매도할 경우에는 가치성장투자도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따라서 어떤 상황에 따라서도 투자 가능하도록 가치성장투자의 방향과 소액투자의 방향을 모두 알고 있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여기서 또 하나 중요한 점은 소액투자더라도 가치를 보고 판단하여 가능한 투자금 내에서
가장 가치가 좋은 것을 선택해야 한다는 점은 동일합니다.
우리는 결국 ‘가치’에 중점을 두기 때문이죠.
오랜만에 수도권 강의라 지방과 다른 기준들이나 관점들을 배우는 재미가 있었습니다.
확실히 지방만 너무 보거나 수도권만 너무 보거나 하는 것보다
둘을 적절하게 번갈아가며 앞마당을 만들 필요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댓글
티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