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부 오류가 있어
수정 후 재업로드 합니다:)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빛나는 금요일을 만들고 싶은
윤이나입니다:)
쌀쌀해진 11월의 2주차입니다:)
건강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
이번주 역시 전국적으로
매매, 전세가가 모두 오른 모습입니다.
다만, 서울의 경우
4주 연속 상승세가 둔화되었으며
광역시의 경우
전세가가 일제히 오르고 있습니다.
자세한 부동산 분위기
전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1월 2주차 주택시장동향 조사결과입니다.
2025년의 44번째 KB시계열 자료입니다.
#KB시계열 #주간주택시장동향 #KB부동산 #KB통계
11월의 랜드마크 아파트 시세는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https://weolbu.com/s/GmRzuqeIwQ
전국 랜드마크(대장) 아파트 순위 및 시세 (25.11_윤이나)
서울의 매매가 상승률은 0.26%
경기도는 0.08%로
서울은 상승폭이 커졌다가
4주 연속 감소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수도권 - 경기 역시
0.08%로 유지되는 모습입니다.
인천 매매가 증감률은 0.0%
보합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5개 광역시에서는
울산 0.07%
부산 0.06%
광주 0.0%
대전 -0.01%
대구 -0.02%
울산의 상승흐름에 이어
부산 역시 상승흐름으로 돌아선 모습입니다.
대구는 지난주에 이어
다시 하락세입니다.
전국 평균 매매 증감율은 0.07%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 변동률은 0.08%로
여전히 상승 흐름입니다.
서울의 전세가 증감률은 0.16%
경기는 0.10%
인천은 0.02%으로
모두 상승세입니다.
5개 광역시에서는
울산 0.16%
부산 0.06%
광주 0.0%
대전 -0.01%
대구 -0.02%
울산,부산 모두
도드라져 보입니다.
전국적으로 전세증감은 0.08%로
상승률이 유지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KB부동산 주간 KB주택가격동향
(25.11.10)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이번주 전국의
매매 상승지역은
송파구 0.81
성동구 0.48
마포구 0.43
용산구 0.40
동작구 0.39
성남 분당구 0.70
성남 중원구 0.45
광명 0.41
과천 0.39
창원 의창구 0.32
매매 하락지역은
이천 -0.17
고양 일산동구 -0.10
평택 -0.09
대구 달성군 -0.14
인천 중구 -0.12
대전 중구 -0.10
거제 -0.11
익산 -0.10
포항 북구 -0.11
천안 서북구 -0.09
입니다
세종의 경우 상승률 0.32%대로
전국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24주 연속 상승한 모습입니다.
지방의 경우 인천 중구, 대전 중구, 포항 북구의 매매가 하락이
눈에 띕니다.

이번주 전국의
전세 상승지역은
강동구 0.59
성북구 0.32
서초구 0.27
용인 처인구 0.50
하남 0.47
광주(경기) 0.44
부산 동래구 0.47
부산 북구 0.31
울산 남구 0.28
세종 0.32
전세 하락지역은
안성 -0.17
부천 소사구 -0.06
평택 -0.05
고양 일산동구 -0.04
부천 오정구 -0.03
이천 -0.03
시흥 -0.02
익산 -0.05
대전 대덕구 -0.05
포항 북구 -0.04
입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변동률은 0.08%으로
35주 연속 상승했습니다.
수도권은 0.11%,
서울의 경우는 0.16%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지역별로 강동구, 세종시의
전세가 상승이 돋보입니다.
지방의 경우 지역마다 분위기가
다른데요.
이번주 돋보이는 지역은
부산 수영구, 용인 처인구, 부산 동래구등의
전세가 상승률이 도드라집니다.

매매 상승지역은
송파구 0.81%
성동구 0.48%
마포구 0.43%
용산구 0.40%
동작구 0.39%
매매 보합지역은
금천구 0.0%
도봉구 0.0%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41주 연속 상승하고 있지만
오름폭은 4주째 둔화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송파구(0.81%), 성동구(0.48%), 마포구(0.43%),
용산구(0.40%), 동작구(0.39%) 등이
상승률 상위지역입니다.
송파구의 경우 방이 송파 일대의 재건축 단지들 중심으로
가격이 소폭 오르면서 2주 연속 상승폭이 커졌습니다.

전세 상승지역
강동구 0.59%
성북구 0.32%
서초구 0.27%
송파구 0.24%
강남구 0.23%
서울아파트 전세가격은 39주 연속 상승하고 있는데요.
상승률은 전주 대비 상승했습니다(0.16%)
지역별로 강동구(0.59%), 성북구(0.32%), 서초구(0.27%),
송파구(0.24%), 강남구(0.23%) 등이 눈에 띕니다.


매매 상승지역은
성남시 분당구 0.70%
성남시 중원구 0.45%
광명시 0.41%
과천시 0.39%
매매 하락지역은
이천시 -0.17%
고양시 일산동구 -0.10%
평택시 -0.09%
경기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8% 상승하고있으며,
13주 연속 상승흐름을 보입니다.
이번주 역시 성남시 분당/중원구, 광명시, 과천시가
높은 상승폭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성남시 분당구의 경우
토허제 지정 이후 매수세가 줄었으나
선도지구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이 올라가고 있습니다.
평택시는 지난 9월 화양지구의 입주가 시작되었으나
매수세가 적어 하락흐름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전세 상승지역은
용인시 처인구 0.50%
하남시 0.47%
광주시 0.44%
성남시 분당구 0.26%
전세 하락지역은
안성시 -0.17%
부천시 소사구 -0.06%
평택시 -0.05%
경기 아파트 전세가격 역시 0.10%의 상승폭을 보이고 있으며,
41주째 연속 상승흐름을 보입니다.
이번주 눈여겨볼 지역은
하남시, 용인시 처인구 입니다.
용인시 처인구는 전세 매물이 귀해지고 있으며
선호되는 신축단지 위주로 가격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인천(0.02%)은 6주 연속 오름새입니다.
그 외 평택시, 부천 소사구등은
이번주도 하락하는 모습입니다.

울산 0.07%
부산 0.06%
광주 0.0%
대전 -0.01%
대구 -0.02%
울산 뿐 아니라
부산 역시 서서히 오르는 모습입니다.
장기간 하락세를 보이던 부산은
상승으로 돌아선 뒤
5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대구 역시 상승 전환하는 듯 했다가
3주 연속 하락으로 돌아선 모습입니다.
-
부산 동래구 0.25
부산 연제구 0.13
부산 해운대구 0.12
부산 수영구 0.11
부산 남구 0.09
부산진구 0.01
부산 중구/서구/영도구 0.0
부산 사하구/강서구 -0.01
부산 금정구 -0.02
대구 중구 0.09
대구 수성구 0.01
대구 동구 0.0
대구 북구 -0.02
대구 서구 -0.03
대구 남구 -0.05
광주 동구/남구/북구 0.0
광주 서구 -0.01
울산 남구 0.16
울산 중구 0.06
울산 동구 0.04
울산 북구 0.03
-
부산은 선호도 높은 해운대구 / 수영구 / 동래구 뿐 아니라
연제구 / 남구 / 진구 까지도 서서히 상승폭이 커지고 있으며
강서구의 경우 공급으로 인해 오히려 매매가가 하락하고 있는 양상입니다.
대구의 경우에는 이번주에도
중구가 가장 큰 상승폭을 보입니다.
울산의 경우
여전히 모두 상승흐름을 보입니다.

울산 0.16%
부산 0.13%
대전 0.04%
대구 0.03%
광주 0.01%
5개 광역시의 전세가격은
10주 연속 오름세입니다.(0.07%)
광역시 전세가격은
일제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
부산 동래구 0.47
부산 북구 0.31
부산 남구/연제구 0.23
부산 해운대구 0.13
대구 달서구 0.08
대구 수성구 0.05
대구 중구/동구 0.02
대구 북구 -0.01
광주 남구 0.01
광주 북구/서구/동구 0.0
대전 중구 0.07
대전 동구/서구 0.06
대전 유성구 0.02
대전 대덕구 -0.05
울산 남구 0.28
울산 중구 0.26
울산 동구 0.10
울산 북구 0.11
-
부산은 강서구/중구/사하구를 제외한 모든 구의
전세가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대구의 경우 북구를 제외,
전세가 상승이 시작되었습니다.
수성구, 동구, 중구 모두 상승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광역시의 경우
매매/전세 동반 상승하는 곳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투자 할 수 있는 기회는 여전히
많아 보입니다.

청주시 흥덕구 0.09
청주시 청원구 0.05
청주시 상당구 0.01
청주시 서원구 -0.07
전주 덕진구 0.13
전주 완산구 0.06
천안 동남구 -0.03
천안 서북구 -0.09
포항 남구 -0.01
포항 북구 -0.11
구미시 0.05
창원 의창구 0.32
창원 성산구 0.11
창원 진해구 0.01
창원 마산회원구 0.0
창원 마산합포구 -0.01
김해시 0.01
-
중소도시 중에는
전주 뿐 아니라 창원 의창구가
높은 매매가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천안의 경우 오랜 공급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매매가 하락세이며,
구미시의 경우
상승흐름이 보입니다.
매매가가 하향조정되고 있는 중소도시들은
여전히 있습니다.

청주 흥덕구 0.05
청주 상당구/청원구 0.01
청주 서원구 -0.01
천안 서북구 0.0
천안 동남구 -0.02
전주 덕진구 0.08
전주 완산구 0.03
구미시 0.02
포항 남구 -0.01
포항 북구 -0.04
창원 마산회원구 0.03
창원 마산합포구 0.0
창원 성산구/의창/진해구 0.0
김해시 0.0
-
대부분 도시들의
증감률이 0.0%에서 횡보를 보입니다.
도시별로 살펴보면,
청주의 경우 전세가가 전반적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천안의 경우 동남구 전세가 하락
서북구는 보합하는 모양새입니다.
(각 생활권과 단지마다 전세가 하락유무는 다르니
꼭 개별확인이 필요합니다.)
그외의 대부분 중소도시 전세가는
매매가흐름과 유사한 모양새입니다.
이번주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KB 시계열 활용법, 읽는 방법 :
https://cafe.naver.com/wecando7/7787174
※KB 시계열 200% 활용법(투자적용) :
https://cafe.naver.com/wecando7/11116742
<KB 시세 업데이트 일정>
※ [KB리브온] 지역별 집값 상승률(매매/전세 시계열) : 매주 금요일 업데이트
※ 전국 랜드마크(대장) 아파트 순위 및 시세 : 매월 첫째 or 둘째 주 업데이트
※ 매달 평당가와 전세가율 거래량은 아래 자료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