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수강후기

[내마중21기 3십억 자산 바로 내꺼조 월부완강] 2주차 강의후기

17시간 전

[와닿았던 점]

  1. 지방과 다르게 수도권의 경우 땅의 가치가 결국엔 연식을 이긴다. “ 10년 뒤를 봐야한다”
  2. 내집마련에서 중요한 것은 내 집을 지켜낼 수 있도록 입지가치와 상품가치를 믿고 기다릴 줄 아는 것이다!
  3. 내가 산 집이 전저점과 이전저점까지 내려갈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한다. 산다고 바로 오르는 것이 아니다.
  4. 수도권에서 땅은 강남에 얼마나 빨리가느냐? or 직선거리가 얼마나 짧은가? 로 결정된다는 사실을 다시 복습.
  5. 수도권 내집마련은 장기보유 관점으로 “접근성을” 최대한 고려 해야한다.
  6. 지방에서 땅이 좋다! 라는 의미는 구축인데도 가격이 비싸다면 그 땅은 좋은 땅을 의미함.
  7. 수도권에서의 교통 中 2호선>9호선>3호선=7호선=신분당>수인분당>5호선>6호선>8호선>1호선>경의중앙선>공항철도 순으로 가치가 매겨지는 것이 신기했고 직접 호선별 위치를 보니 이해가 가기 시작함.
  8. 비선호 역세권이라도 결국에는 가치를 찾아가기 때문에 후순위라 하더라도 의미가 있음.
  9. 수도권의 교통이 가지는 힘이 얼마나 큰지 알 수 있음. 결국에는 급지를 이겨내는 경우도 있음.
  10. 지방에서 학군은 “장기거주”를 의미하기때문에 각 지방의 학군지는 꾸준한 수요가 있기때문에 안정적임.

 

[적용해보고 싶은 점]

  1. 수도권에서 내집마련을 할 때 연식을 보는 것 보다는 결국 따라잡는 땅의 가치를 기준으로 선별해보기
  2. 내집마련을 진행할 집의 리스크를 계산해보고 여기까지는 떨어질 수 있구나를 책정해보고 대응하기
  3. 입지의 가치 “접근성”위주로 적용해보고 땅의 가치를 믿어보기
  4. 부산 생애최초를 진행할 때는 지방에서의 선호요소 환경, 연식, 학군, 세대수 등 누가봐도 좋아보이고 선호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5. 비슷한 가격이면 (   ) 먼저 검토! 왜냐하면 땅, 교통, 학군, 환경, 연식 중 (  ) (  ) 가 좀 더 좋으니까요!라는 틀을 적용하여 비교평가 해보기!
  6. 그 지역 사람들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고민해보고 투자에 적용해보기

댓글


월부완강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