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라피협입니다.
3강인 튜터링데이가 끝나고 실전반의 4강은 식빵파파님께서 진행해주셨습니다.
온라인으로 수강하는터라 금요일에 최임을 제출하고 강의를 듣게되었는데요,
제가 가장 궁금했고 실제로 튜터님께도 질문드리곤 했던 비교평가!
바로 이 비교평가의 A to Z에 대해 알려주는 강의였습니다.
단지분석을 할 때에도, 매임이 끝난 뒤 매임정리를 할때도, 1등을 뽑을때에도
항상 비교평가를 하는데...할 때마다 이게 맞는건지 내가 지금 비교를 하는건지
그래프만 붙여보는건지 싶을 때가 많았습니다. 이번 강의를 통해서 어떤 고민을
해야하고 어떻게 검증을 해야하는지 무수히 많은 사례를 통해 배울 수 있었습니다.
-----------------------------------------------------------
1. 더 벌수 있는 아파트를 선택하는 과정
우리는 좋은 것을 사는 사람들이 아닙니다. 돈이 너무나도 많다면 좋은 거
사면 되겠지만 투자금이 정해져있고 잃지 않는 기준 내에서 투자를 진행하기
때문에 더 벌 수 있는 아파트를 보는 눈을 가져야합니다.
가격별로, 급지별로, 연식별로, 특정 요소 별로 아파트들을 비교해 가설을 세워보며
검증하는 과정까지. 기계적으로 임보를 쓰는게 아니라 이런 사고의 과정을 임보에
담은 투자자가 진짜 1등을 뽑는구나 느낄 수 있었습니다.
여지껏 제가 해온 비교는 문제를 풀기도 전에 답지를 미리 보고 그렇구나~ 다음문제~
하고 넘어갔던...거였습니다. 정말 뼈 많이 맞고 많이 깨달았습니다. ㅎㅎㅎ
2. 임장보고서의 마무리는 투자결정 과정이다
실전반에서는 수도권임장지를 배정받아 한 달 동안 앞마당을 만듭니다.
당연히 투자금도...많이 들죠. 그래서 자꾸 top3를 뽑을 때 투자금을 체크하게 되고
전세가에 자꾸 눈이갑니다. 그리곤 당연히 투자 못하는거 아닌가?로 사고가 흘러버리기 마련이었죠.
하지만 이렇게 되면 가장 중요한 '그래서 가치대비 가격이 얼마나 싼데?'
를 놓치게 됩니다.
우리가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와 가격.
이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항상 임보는 투자결정 과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3. 시세트래킹
멘토님들, 튜터님들, 선배님들이 항상 말씀하시는 시세트래킹.
실준때도 많이 강조하셔서 파일을 받았지만 제대로 해본 적은 없던 것 같습니다.
(심지어 젊은우리 튜터님 양식 받아만 놓고 안썼는데..
실전반 저희 조 튜터님으로 젊은우리 튜터님 당첨..ㅎ ㅠㅠㅠㅠ)
시세트래킹을 왜 하는지, 왜 중요한지, 어떻게 투자자가 시세트래킹과 투자를 연결시키는지,
그래서 어떻게 할건지까지 전 과정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ㅎㅎㅎ
시세트래킹이 보내주는 시그널을 캐치할 수 있게끔 남겨야 할 점을 명확히 알고 적용시켜보겠습니다.
BM 1. 비교평가란 나의 결론을 낸 뒤 그래프라는 답지로 검증하는 것이다
2.엑셀시트 시세트래킹 바로 시작하기. 한 달에 한 번.
------------------------------------------------------------
최임도 제출하고 매임도 끝단계에 접어들면서 조금 편해졌다 생각이 들던 찰나에,
강의를 듣고 다시 마음을 다질 수 있었습니다. 수천번, 수만번의 시행착오를 통해
얻은 인싸이트를 수강생들에게 아낌없이 나눠주신 식빵파파님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댓글
랖협님 우리 손잡고 트래킹 열심히 해봐요~ 저도 제대로 안 하고 있어서 이번에 식겁했네요~ 지금 협님은 충분히 잘 하고 계신겁니다!!! 저는 1년차때... 으흠.. ㅋㅋㅋ 한주도 넘넘 수고 많으셨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