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중구 직장" 부분 정리 중에 의문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국가통계포털" 자료의 "가구당월평균소득" 에서
다른 구 대비 중구의 "고소득자 비율은 낮으나"
"국세통계포털" 자료의 "주소지&원천징수" 의
다른 구 대비 중구의 "소득은 높아서"
직장 부분을 파악하는데 서로 연결이 안됩니다...
혹시 이 부분에 대해서 어떻게 해석하면 좋을까요?
댓글
감사하다님 안녕하세요. 대구 중구 직장의 소득과 직장의 상관관계가 궁금하시군요. 위에서 말씀하신 "가구당월평균"소득에서 다른 구 대비 중구의 "고소득자 비율은 낮다"라고 하셨는데 제가 알기로는 중구의 500만원이상 비율은 수성구>달서구>중구 순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중구는 대구내에서도 고소득자가 많이 거주하고 있는 구 입니다. 중구 같은 경우는 근로자(원천징수)보다 거주자(주소지)원천징수가 높습니다. 즉 거주민의 소득이 높다 라는 것으로 연결지어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감사하다님 안녕하세요 :) 저 또한 다른 구에 비해 중구의 소득이 높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실제로도 고소득자가 많이 거주하고 있구요~ 혹시 데이터도 같이 올려주시면 잘못된 부분이 있는지 같이 검토해보겠습니다. ㅎㅎ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