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정직하게 달리는 투자자 어니런입니다.
최근에 책을 읽다가 궁금했던 점을 알아가는 과정에서
혹시 저와 같은 궁금증을 가지시는 분이 계신다면 참고가 되지 않을까하여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저 혼자 알아보고 생각한 걸 쓰는 거라
데이터 해석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ㅠㅠ
그냥 '이렇게 생각했구나~'정도로 받아들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 혹시 다르게 해석하는 방법이 있거나 오류가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제가 읽었던 책은 구만수 박사 3시간 공부하고 30년 써먹는 부동산 시장 분석 기법입니다! 아래 내용은 이 책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주택을 건축하기 위해서는 땅이 필요합니다.
이를 '택지'라고 합니다.
택지를 조성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재건축, 재개발
둘째, 신규택지개발
입니다.
재건축, 재개발은 사업성이 좋아 빨리 진행되어도 10년 정도 걸린다고 하며,
신규택지개발은 택지지구를 지정하고 토목공사를 진행해 주택이 공급되기까지 적어도 8년이 걸린다고 합니다.
(지구지정-개발계획 수립-토목공사-주택건축)
만약, 택지지구가 활발히 지정되지 않는다면 그만큼 향후 주택공급이 줄어든다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궁금해졌습니다..
택지지구는 얼만큼 지정되고 있을까?
이를 통해 앞으로 주택 공급이 얼마나 될 지 참고가 되지 않을까?
그래서 알아보니 택지에 관한 통계, 정보는 택지정보시스템에서 알 수 있었습니다.
1. '택지정보시스템-주제별통계'에 들어갑니다.
2.연도별통계-통계년도 지정-엑셀저장을 누릅니다.
원하는 정보에 따라 통계범위를 수도권, 지방권으로 선택할 수 있고,
항목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
3.엑셀파일을 엽니다.
엑셀 파일을 열어보면 전국의 연도별로 지정된 택지지구부터 개발계획된 지구, 준공된 지구의 수, 면적을 볼 수 있습니다~!!
저는 그 동안 택지지구가 얼마나 지정되었고 실제로 준공되었는지 궁금해서
(1) 연도별 지정된 택지지구의 면적과 (2) 준공된 택지지구 면적을 알아봤습니다.
면적으로 알아본 이유는 숫자로는 그 규모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울 것 같아서였습니다..
사실.. 명확한 이유는 없습니다...ㅎㅎ하하..
2004년부터 2011년까지는 지정된 지구 면적이 꽤 되었는데 2012년 이후 급감하는 걸 알 수 있었습니다.
또, 준공된 택지 면적은 2016년까지는 늘어났지만, 이는 과거에 지정된 택지지구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 같습니다.
2012년부터는 지정된 택지지구가 줄었기 때문에 당분간은 준공되는 택지가 줄지 않을까 짐작해봅니다.
부족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나눔글]
처음 조장을 해보고 느끼는 것들
https://weolbu.com/community/366401
댓글
어니런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