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안녕하세요.
서기 정규강의로 컴백한 정케빈입니다.
우선 아직 조모임은 못했지만
함께하게된 46조 조원분들 반갑습니다.
지금까지 월부생활 6개월간 강의와 여러 조모임을 경험을 쌓으며
제 투자 목표와 과 기준/공부 방법을 정립하는 과정이었다면..
이번 서기과정은
명확한 목표와 기준을 가지고
구체적인 실행을 시작하는 단계로 의미를 두고 싶습니다.
이번에도
한 단계씩 성장하고
함께하는 성장을 즐길 줄 아는
제가 되길 희망하며 후기를 시작합니다.
현재 서울 시장 진단
급지별 상승 비교
2급지 중에 성동구의 하락세가 가파랐지만 반등은 생각보다 쎄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3급지는 동작구가 많이 빠졌다. 그 이유가 무엇인가?
이번에 성동구를 뽀개며 꼭 조원들과 이야기 해보자
서울의 70% 이상이 반등을 했다고 한다.
그래서 이번 하락장은 기회를 놓친건가?
그래도 부동산 역사상 규모있는 3번의 연속의 하락은 없었다고 하니
다시 한 번 하락장이 온다면 기필고 움직이리라 생각만 했다.
(떨어져라.. 내껏이 떨어줘도 좋다 떨어져라 기도만 했다)
하지만 급지별 상승비교를 보면 아직 3,4,5급지는 일부만이 반등 중으로
아직 전고점 대비 30% 이상 떨어진 곳들 중에 기회가 있는 곳들이 있을 수 있다고 한다.
포기하지 말자.. 이왕이면 기회가 있다고 생각하자.
그래야 지역과 단지의 본질에 집중하게 될 것이다.
BM
금액대별 서울투자 로드맵
투자금 한번에 vs 나누어 여러번
시뮬레이션해보면 보통은 양도소득세율 구간의 차이로
나누어 여러번이 유리하다고 알려져 있다
허나 급등장시 정부의 보유세에 대한 다주택중과 규제가 있을 수 있으니
리스크관리나 정확한 계산을 통한 투자전략이 필요하다.
(총 자산 60억 기준 1채와 3채(20억)의 보유세 차이는 4500에서 7000천으로 증가)
(총 자산 21억 기준은 반대로 보유세가 줄어들었음.)
이 강의가 끝나면 스스로의 질문과 답변을 내릴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서울 25개구 입지별 특징과 투자기준
결국 서울은 평균 전세가율 60%이상이면
투자하기 어려운 전세가율은 아닐 수 있지만
그렇다고 이 기준으로 투자적기라고 판단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장표에도 코멘트 되어 있는 것 처럼
지역과 단지에 따라 최고 전세가율과 유지기간이 다르므로
해당 전세가율 평균지수는 평균일 뿐
각자의 투자 목표에 맞는 급지와 단일 물건의
적정 전세가율을 찾아 보아야 한다.
비슷한 매매가로 가정하고..
상급지의 비선호 아파트와
하급지의 랜드마크 급 선호아파트라면
어디가 더 좋을까?
이분법으로 구분할 수 없을 것이다.
그래서 임장이 필요하고 물건 하나 하나의 본질을 드러다 보며
최대한의 정성/정량적 평가를 해야 할 것 같다.
BM)
서울아파트 투자 사례
B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