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권유디, 너나위, 코크드림,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부동산 투자를 잘하고 싶은 문빌입니다.
허겁지겁 강의를 듣다보니 1/2주차 강의 내용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관계가 있는지 머리속에서
뒤섞이는 단계에 이르렀습니다.
내용을 유기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 실전준비반?
- 투자를 하기 위해 임장보고서를 작성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강의 같습니다.
- 이번 과제를 통해 임보 작성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도구 사용법을 익히고, 24년에 총 7개의
앞마당을 확보하도록 하겠습니다. !
1) 일산 제외 1기 신도시 4개 (성남시 분당, 부천시 중동, 안양시 평촌, 군포시 산본) 및
2) 수원시 영통구, 광명시, 용신시 수지구
● 2주차 밥잘님의 강의 내용은?
- 임장보고서의 구성 요소와 각 요소를 작성하는 내용에 대해서 배웠던 것 같습니다.
- 임장보고서 작성 항목인 지역정보, 입지분석, 시세확인, 투자 결론 순으로 배웠습니다.
● 1) 지역정보 - 지역 별 색칠하기
- Top-down 방식을 통해 투자 지역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 특정 시/구의 위치/지적도/인구(세대수,연령대,이동)/소득 수준 등 해당 지역이 가지고 있는 매크로 특성을
개략적으로 이해하고,
- 이러한 시/구의 평균적인 지표 대비, 시/구 내 위치한 생활권 (혹은 동별) 별 특징을
파악하는 부분이 흥미로웠습니다.
● 2) 입지 분석 - 정량적/정성적 분석 결합하기
- 수도권/지방에 따라 직장/교통/학교/환경의 일반적인 선호 순위는 있으나, 같은 권역 내
입지 분석 시 어떤 요인에 우선순위를 두고 평가할 것인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였습니다.
- 일차적으로, 외부 수요를 견인할 수 있는 아주 매력적인 입지 구축 요소가 있는지 파악하고,
그 외 요소들이 어떻게 입지를 형성하는지 이해하기 위해서, 지금 단계에서는 정답을 찾기
보다는 제 나름의 사고의 흐름을 정리하며 연습하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습니다.
● 3) 시세 확인 - 가격 확인하고 가치와 비교하기
- 앞서 파악한 생활권(혹은 동) 별 입지 분석 결과와 같이 보며, 입지 가치가 가격에 반영되었는지 확인하고 반영
되지 않은 부분이 있다면 투자의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4) 투자 결론 - 정답이 아닌 사고 길들이기
- 저환수원리 기준을 바탕으로, 단지/임장지/앞마당 순서로 비교 군을 확장해가며 투자 가능 대상 범위를 좁히고
그 중에서 제일 좋다고 생각되는 매물을 선정하는 과정이 신선하게 느껴졌습니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을 가장
좋아합니다. 아는 것을 늘리기 위하여 가치 순서를 매겨보는 사고 연습을 지속적으로 해보겠습니다.
댓글
문빌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