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규현입니다.
2강에서는 비교평가에 대한 내용이고 강의내용에 대한 수강후기가 모두 좋았다고들 하시길래
대체 어떤 내용에 대해서 강의를 해주시길래 다들 좋았다고 하시는걸까 기대가 되었던 강의었습니다.
강의를 듣고보니 확실히... 비교평가에 대한 안개가 걷히고 조금은 윤곽이 잡혀가는 느낌이었다고 할까요?
지금까지 흐리멍텅하게 작성해왔던 임보의 마지막페이지 비교평가와 1등뽑기가 조금은 선명해지는 느낌이었습니다.
그리고 제 1등뽑기가 왜 어려웠는지도 알게되었습니다.
강의 내용 중에서 적용해보고 생각해볼만한 내용에 대해서 몇가지 정리해보겠습니다.
가치 대비 더 싸다는 의미
비교평가의 기본원칙은 가치대비 가격이 싸던지, 가격 대비 가치가 높던지!
이걸 머리속에 팍 박아둬야 하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가치 대비 가격이 싸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에 대한 의문에 대해서도
입지와 상품성, 선호요소에 대해서 설명해주시면서 어떤것이 더 좋은것인지에 대해
예시를 들어 설명해주셔서 그나마 이해하면서 따라갈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래프 비교 하는 방법
지금까지 단지 대 단지를 비교하면서 자주 사용했던 단지간 그래프 비교에 대해서도
그래프 비교를 정확하게 사용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도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셨던 것도 인상깊었습니다.
지금까지는 2개 단지만을 비교해 왔던건 잘 했던 것 같은데 흐름이 같은 지역 내 단지끼리 비교하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앞마당과의 비교가 어려웠던 것 같습니다.
그래프로 비교할 때에는 같은 지역 내에서 가격 흐름을 비교해야겠습니다.
신축 20평대가 좋아요? 구축 30평대가 좋아요???
이 질문도 앞마당을 만들고 비교평가를 해나가면서 계속 했던 고민인데
이번에 강의에서 20평대를 접근할 때에는 어떤 기준을 가지고 접근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알려주셨던 점도 좋았던 것 같습니다.
느낀점, 생각해 볼 점
사실 솔직한 심정으로는 비교평가에 대해서 어느정도 윤곽은 잡혀가는 것 같은데,
떠오르는 질문들에 대해서 명확하게 답을 하지는 못하는 상태로 아직은 모르는 상태라고 보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비교평가를 한다는건 같은 지역 내에서 단지 대 단지로 비교하면서 입지는 어떤지, 상품성은 어떤지
선호요소는 어떤게 있는지를 가지고 가격을 비교하여 저평가를 찾는 과정인데,
그 안에서 또 20평형대와 30평형대로 들어가면 20평형대가 30평형대보다 월등히 선호할만한 단지인가?를
고민하고 저평가 단지 중에서는 나에게 가장 맞는 1등 투자물건을 뽑는...
저도 제가 무슨말을 하고 있는지 잘 모르겠네요 아직 머리속에서 이해한게 정리가 잘 안됐나 봅니다 ㅋㅋㅋㅋ
짧게 줄이면 선호도가 있는 물건중에 가장 가격이 낮은 물건을 찾아서
나에게 맞는 1등을 뽑는 과정을 설명해 주신 강의였습니다. 다시 한번 복습하면서 잘 정리해두고
저만의 언어로 다시 정리해서 온전히 제 걸로 만들고 싶은 비교평가 강의였습니다.
좋은 강의를 준비해주신 게리롱님께 감사드리며, 아직은 이해한바를 잘 정리하지는 못했지만,
복습하고 적용해보는 과정에서 꼭 제걸로 흡수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댓글
규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