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경험담

선호도 파악할 때 놓치지 말아야 할 한 가지 [아이닌]

  • 24.01.26




안녕하세요~

당신을 사랑하는 워 아이닌,

아이닌입니다^^



얼마 전에

아이 때문에 이사를 고민하는

한 친구가 있었습니다.


살고 싶은 지역의 맘카페를

찾아보다 제게 연락이 왔습니다.


닌~

난 여기(A)가 아파트도 오래되지 않았고,

학교 건물도 새거인데다,

공원도 잘 갖춰져 있어서 살고 싶더라고.


근데 맘카페에선 그 옆에 동네(B)로

가라고 하는거야~

거긴 아파트도 더 낡았는데..

정말 그러니?



혹시 어딘지 눈치 채셨나요?


제 친구가 놓치고 있는 건

무엇일까요?



우리가 투자로 부동산을 보고 있더라도

결국 집은 거주의 목적이 큽니다.


따라서

지역, 단지의 선호도 파악에서

반드시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은


바로

'거주하는 사람들'입니다.


친구가 고민했던 곳은

바로 서울 강남의

A생활권과 B생활권입니다.





A는 세곡, 수서 생활권이고

B는 일원 생활권 입니다.




서울 상급지일지라도

사람들의 선호도에 따라

거주수요가 많이 달라집니다.


A생활권

신축 아파트, 녹지환경을 잘 갖추고 있습니다.


B생활권

구축이 대부분이고,

저층 아파트가 혼재되어 있으며,

상권도 부족합니다.


그럼에도

B생활권에

더 살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리고 가격도 차이가 납니다..


사람을 이해하기 위해서

저는 3가지 관점에서

생각해보고 있습니다.






왜 여기 사는가


A생활권에 사는 사람들은

구축이고, 상권도 부족하지만

거주하는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거주지를 고민할 때

분명 이런 생각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우리 아이를 키우기

좋은 환경인가?


입니다.


B 생활권인 개포일원 생활권은

강남의 중심인 강남역, 삼성역과 가깝고,

대치 학원가를 접근하기

더 편리하기 때문입니다.


아마도 이런 요소들 때문에

신축의 장점을 버리고서라도

여길 선택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내가 그 지역에 사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여기 사는 이유를

생각해보는 게 매우 도움이 됩니다.


이런 질문들을 해보는 건 어떨까요?


여기 우리가족이 살기 좋은가?

여기 직장까지 편하고 빠르게 갈 수 있나?

여기 아이를 키우기 안전한가?

여기는 중심 상권과 가깝나?


이런 질문에 답들을 쌓아가다보면

사람들이 왜 여길 거주지로 선택하는지

알게 되실 겁니다.





어떤 사람들이 사는가


우리는 임장을 하면서

주변 상권, 아파트 단지, 학교 등을

보지만


무엇보다 사람들을 보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인근 단지들과 달리


갑자기 많아지는 외제차와 대형차들

인테리어에 고급 수입자재를 사용하는 매도자들

명품백과 골프채가 곳곳에 보이는 집들

영어 유치원 버스에서 내리는 아이들


그 동네, 그 단지 사람들의

일상에 들어가서


그들이 다니는 직장, 학교

소비하는 모습들을

관찰해보시면 선호도 파악에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그런 사람들이

이 지역 어디에 사는지

아는 건 중요합니다.


소위 말하는 지역에서

부자들이 사는 곳,

고소득자들이 많은 곳은

결국 사람들이 살고 싶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격을 올려보시면

어디에 투자하면 좋을지

결정하실 수 있을 겁니다.





여기서 어디로 이동하는가


어떤 단지에 누가 살고

왜 사는지를 이해했다면


이제는 여기 사는 사람이

다른 곳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는지까지

고려하면 좋습니다.


우리는 전세 레버리지를 통해

투자를 해나가기 때문에


실제 사는 사람들이

여기보다 더 좋아하는 곳은 어디고,

어디에서 여길 오고 싶어하는지


바로 위와 아래 선을 아는 것은

중요합니다.


만약 전세가가 저렴하다면

여기 살던 사람도

원래 더 살고 싶었던

더 좋은 단지로 가고 싶을 것입니다.


이렇게 실거주자들의 심리까지

파악하는 것이 투자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한 곳은 강남, 한 곳은 용인 수지이지만

매매가에 비해 전세가가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강남 세곡동에

용인 수지에서 이동해오는 수요도

있겠다는 걸 알 수 있고,


결국 세곡동은 강남 인접 경기권까지도

배후수요가 있겠다는 걸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사람들을 이해하는 3가지 관점>

1. 왜 여기 사는가

2. 어떤 사람들이 사는가

3. 여기서 어디로 이동하는가



부동산은 결국 투자 이전에

사람들이 사는 공간입니다.


따라서

사람들을 먼저 이해하고

선호도를 파악하여

단지의 가치를 고민해보는 게

가격을 보는 것보다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제가 수도권을 예시로 들었지만

사람들을 이해한다는 관점은

지방도 마찬가지입니다.


부동산은 인문학입니다.


선호도 파악이 어려우시다면

사람들을 이해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해보시기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아이닌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