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십니까.
"선한 영향력을 널리 전파하며 경제적 자유를 이루고픈 선한부자메신저" 입니다.
1주차는 "제주바다"님의 강의가 있었습니다.
매번 "제주바다"님의 강의를 들을 때마다 느끼는 거지만,
'에너지가 넘친다', '실전 경험이 정말 많으시다' 라는 것을 매번 느끼며 배우고 깨달은 바가 큰 강의가 아닌가 합니다.
이번 주는 '지방투자의 기준과 적용법' 그리고 'A 지역 분석', 마지막으로 투자자로서의 태도에 대해서 나눠주셨습니다.
[수도권 투자와 다른 나, '지방 투자'의 매력]
'미분양, 서울과 양극화 심화, 건설사의 분양 연기, 주담대 금리 인상' 등 지방 투자에 대해서
신문 기사를 통해서 많이 접하게 되었는데, 이는 곧 다시 기회임을 느끼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바로, 장기적으로 공급 물량 감소, 금리 인상에 따른 매도 물량 증가 등
저평가 지역을 싸게 살 수 있는 기회가 된다는 것입니다.
또한, 수도권 투자와는 다르게 싸이클의 선순환이 빠르다는 점과 수도권과 같이 높은 수준의 이익,
좋은 물건은 장기적으로 우상향 할 수 있다는 것을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지방투자는 공급물량이 정직하게 가격에 반영된다는 것을 통해 '공급 물량의 중요성'을 다시한번
느끼게 되었습니다.
[ 'A'지역의 입지적 가치와 투자 기회]
'A' 지역의 경우, 인구수/일자리/학군/환경 등 입지적 가치와 투자의 매력도를 지니는 지역이었습니다.
하지만, '23~25년까지의 대규모의 중심부 공급이 예정되어 있는 바,
이 시간을 통해 지역을 면밀히 분석하고, 향후 다가올 기회를 잡을 수 있는 준비를 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투자자로서의 태도]
경제적 자유를 누리고 싶다면, 결국 '지'와 '헹'을 동시에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지'를 위해 '시간'을 충분히 투자해야 하며, 그것을 통해 '행' 즉, 투자를 실행한다는 것입니다.
충분한 투자 공부 시간 확보와 반드시 투자를 통해 결과를 도출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실전 투자를 통해 배우는 바가 분명 있는 부분이니, 반드시 실전 투자까지 행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렇듯, 첫주 좋은 강의를 해주신 '제주바다'님께 다시한번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BM]
1) 지방은 '공급'의 영향력이 크기에, 반드시 공급 지도와 공급 캘린더를 만들어 투자에 활용한다.
2) 일자리는 곧 수요를 의미하기에, 일자리 규모가 크고 전반적인 소득 수준이 높은 곳을 투자 후보지로 선정한다
3) 투자자로서의 충분한 투자 공부 시간을 확보하며, 실전 투자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한다
(매일 임보쓰기 + 월부 환경에 남아서 성장하기)
감사합니다.
댓글
선한부자메신저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