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석시드입니다.
엄청 늦은 열반중급반 1강 후기를 작성하려고합니다.
오늘 새벽에 들은 방랑미쉘님의 마지막 말씀에,
독서와 후기는 꼭 요약, 느낀점, 적용점을 정리하고 내것으로 만들어야겠다고 생각되었씁니다.
1.
강의 핵심 : '수도권투자vs지방투자', 그 차이점을 아는 것
사람마다 종잣돈, 앞마당 등 투자를 할 수 있는 여건이 다르기 때문에,
본인의 현재 상황을 알고 '투자금 대비 수익률을 최대화'할 수 있는 지역에 투자해야합니다.
누군가에게는 수도권일 수도 있지만,
현재 저에게는 '지방투자'가 적합하다고 생각됩니다.
2.
많고 많은 지방 중 '나에게 맞는 투자처 찾는 방법'
- 나의 상황을 안다.
- ㅌㅈㄱ : 현재 보유한 ㅌㅈㄱ, 1년 동안 얼마나 저축 가능할지를 안다.
- ㅈㅅㅎㅎ : 나의 ㅈㅅ규모가 어느정도인지
- 주당 몇시간 투자공부에 집중할 수 있는지
- 투자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자산의 규모가 어느정도인지
투자처를 찾기 전 자신의 상황을 명확하게 알아야합니다.
저는 지방투자가 적합하다고 생각했습니다.
현재 보유한 투자금이 적고, 1년에 모을 수 있는 종잣돈도 적습니다.
3.
지방 투자 지역 선정하는 법
- 가격기준과 입지기준을 알아야안다.
- 가격기준은 전세가율 높고, 입주물량 적은곳
- 입지기준은 일정량 이상의 인구, 학군, 환경
- 지방은 '아파트의 연식'도 중요하다.
이를 통해
- 인구수 많은 지역을 우선적으로
- 지역 내 입지선호도를 고려하고
- 가격적정성(전고대비 하락폭, 전세가 상승추세)를 확인 후
- 2~4년 내에 매도 가능여부를 체크하고 투자를 고려한다.
4.
행동과 마음가짐의 중요성.
- 행동의 중요성
앞마당을 만들고, 시세트래킹을 통해 좋은 가격을 찾고, 좋은 매물을 찾으면 바로 행동할 수 있도록
'훈련'되어야한다. 투자 원칙을 정해놓고, 그 원칙에 들어오는 물건을 기계적으로 매수할 수 있어야 한다.
- 마음가짐의 중요성
지금 투자하는 시간들이 반드시 좋은 기회로 보답할거라는 믿음을 가지고,
투자 물건이 없는게 아니라 내 끈기가 부족하다는 생각으로 보물찾기.
5.
앞으로 해야할 일(적용할 점)
- 한 달에 한 곳 지방 앞마당 만들기
- 필수 임장지 = 5대 광역시 + 5대 중소도시
- 3개월 이후 투자목표로 '더 많이 오를 지역'을 우선 임장
6.
8년차 투자자의 독강임투(적용할 점)
- 독서 = 요약, 느낀점, 적용할점을 정리 -> 독서모임 -> 독서모임의 요약, 느낀점, 적용할점을 정리
책을 한권 읽어도, 3~4번 요약, 느낀점 적용할점을 정리해서 '진정한 내것'으로 만드려는 노력
- 강의 = 독서와 같음
- 임장 = 1년에 15개,,, 멈추지 않는게 중요하다. 그냥 묵묵히 걸어나가기
- 1호기 계약 후 전세셋팅, '어라? 나도 할 수 있겠는데?
7.
강의 핵심 : '8년차, 순자산이 OO억이 넘는 방랑미쉘님께서도 독강임투에 최선을 다한다. 근데 나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