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꼭 한번은 넘어야 하는 벽, 지방. 그 벽을 넘기 위해 지투기를 신청했습니다.
지방은 낯설고 어렵다고 생각해 걱정이 많았는데, 첫 강의인 제주바다님 강의를 통해
지방 투자의 기준 및 투자 방법, 그리고 지방 지역 분석 하는 방법, 지역에 대한 인사이트 등
지방 투자를 위한 기초를 다질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 2,3,4주차 점점 채워갈 지방 투자 강의가 기대됩니다!
제주바다님과 함께하는 1강에서는 지방투자 기초부터 심화, 그리고 A,B 지역 분석, 투자 사례 등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제 머리속에 들어오셨나요]
머리로는 현재 제 상황에 맞는 투자가 지방투자라는 것을 알면서도 두려움이 앞섰는데,
제주바다님 제 머릿속에 들어오셨나요?
제가 생각하던 고민 3가지를 어떻게 아시고, 각 고민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해주셨는지.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가격, 그리고 가치.
불안하고 어렵다는 것은 공부가 부족한 것이라는 것을 새삼 깨달았습니다.
제대로 지방투자 공부하고 투자하면 할 수 있다!
[지방투자의 핵심]
서울 및 수도권의 입지 요소는 직장과 교통 위주, 지방은 연식과 환경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더 나아가 지방을 볼 때 꼭 봐야하는 요소들을 짚어주셔서 지방 이해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특히 중간 중간 다양한 지역을 예시로 들어주셔서, 지방에 문외한이던 저에게 도움도 되고
무엇보다 재미있었습니다. 당장 그 지역으로 가서 확인하고 싶은 기분!
결국 수도권이나 지방이나 중요한 것은 지역의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곳', '내가 살고 싶은 곳'
더불어 입지평가하는 기준, 입지평가 과정을 상세하게 알려주셔서 임보 작성할 때 꼭 참고하겠습니다.
광역시의 경우 각 구별로 입지평가를 해서 비교해야한다는 것도 처음 알았습니다.
비슷한 규모끼리 비교하는 것이 지방은 더 중요한 것 같습니다.
[지역을 뽀개주지 제주바다님의 지역 분석 찢었다]
강의를 들으면서, 중소도시와 광역시를 고민했었는데 아... 역시 중소도시 강의는 중소도시를 임장지로
선택했어야 하는구나 많이 후회했습니다ㅠ A, B지역을 전혀 모르던 저도 강의를 여러 번 복기하면
대략적인 밑그림은 그릴 수 있을 정도로 해당 지역을 싹 훑어주시니 와... 이 내용을 직접 가서 눈으로
임장하며 확인하고 싶다는 생각뿐이었습니다.
그리고 제가 지역들에 대해 가지고 있던 편견을 없애주셨습니다. 바로 이전에 수도권을 임장해서 그런지
더 비교가 되었습니다. 지방.. 좋구나?
투자란 씨앗을 심어두고 기다리는 것, 기억하겠습니다. 그리고 기회는 계속 있다는 것.
[BM]
마지막에 제가 속한 단계를 메타인지해보니, 여전히 저는 1단계인 것 같습니다.
그래도 2단계로 나아가기 위해 이번달에는 지난달보다 하나라도 더 발전하겠습니다.
임보의 본질은 보기 좋은 것이 아닌, 가격과 가치! 그리고 통찰력! 틀을 쫓고 있던 것은 아닌지
저 스스로를 반성합니다. 이번에는 나의 생각과 '가격'을 잘 담는 것에 집중하겠습니다.
2월을 마무리 할 때 성장한 저를 마주하기를 소망합니다. 4주차까지 화이팅!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