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지방기초반에서는 어떤 걸 배울까? 이전 강의와 무엇이 다를까?
지방은 처음이었기에 기대하며 제주바다님의 강의를 들었습니다.
1월 달에 들었던 실전준비반은 정말 '준비'반이었구나, 느꼈습니다.
그만큼 지방기초반에서는 지방 특성에 맞춘 투자 기준과 방법,
지방에 맞춘 지역분석 방법을 애매모호한 것 없이 투명하고 적나라하게 알려주었다고 생각합니다.
강의 초반에 '지방투자'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궁금한 것, 두려워 하는 부분을 알려주었습니다.
저 또한 지방에서 투자해도 될까, 인구 감소에 대해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나 이런 고민이 있었는데
수도권과 다르게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그리고 다수의 언론 의견이 아닌 현실을 볼 수 있었습니다.
물론 수도권보다 수익률이 떨어지거나 선호도가 낮은 지역은 잃는 투자가 될 수 있기에
그만큼 내 종자돈 범위 안에서 선호도 높은 지역과 단지에 투자해야 하며 선호도 높은 곳이 어딘지 기준을 세울 수 있었습니다.
여러 리스크가 있기에 어떤 기준으로 투자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배울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지역 A,B에 대해 마구마구 분석해주셨는데
전 두 지역을 모르기 때문에 받아들이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ㅠㅠ
강의를 들으면서 앞마당을 많이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하지만 지역분석은 이렇게 하는거구나! 투자자로서 지역을 바라보는 시야를 배울 수 있었습니다.
이전 강의에서는 수도권에 집중해서 생각을 했는데, 지방은 역시 다르더라고요..
지방에서 공급이 그렇게 중요한지 몰랐습니다!
인구 수, 소득 수준 등 지방에 대한 편견을 갖고 있었는데
강의에서 데이터로 확인 후
지방 투자에 대한 편견을 버릴 수 있었고, 그만큼 투자가 가능하다는 확신이 생겼습니다.
제주바다님 강의를 듣고 나서 빨리 임장을 가고 싶어졌습니다 ㅎㅎ
1강에 나온 지역 A,B도 다음에 꼭 앞마당으로 만들어야겠습니다.
지방 투자 시 집중할 것: 신축의 중요성, 입지 독점성, 상품성, 공급(매우 중요)
데이터가 현실을 못따라가는 경우도 있으므로 현장에 직접 가서 확인해야 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