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주와 투자를 분리하는 방법
1) 서울 11개구 아파트 단지 전수조사
2급지: 성동, 광진, 마포
3급지: 강동, 동작, 영등포(신도림포함)
4급지: 강서, 서대문, 동대문, 성북, 관악, 은평
2) 내가 가진 종잣돈으로 접근 가능한 아파트 착고 기준가 확인(-25%)
3) 종잣돈이 모자라는 경우 내가 가진 종잣돈 +1억 단지 확인하고 시세 추적
[기준]
1) 매매-전세 갭 3억 이하인 단지
2) 전고점 대비 -25% 이상 단지
*추가로 고려할만한 것: (가능한) 10평대 제외, 전세물건의 수
[주요 단지 가격 비교]
1) 매매-전세 갭 3억 이하인 단지
2) 전고점 대비 -25% 이상 단지
3) 절대가 6억
*빨강: 성북구(98/27평/복), 파랑: 성북구(05/33평/계), 검정: 관악구(93/23평/복), 연두: 동대문구(00/26평/복)
[결론]
이 네 단지 중에서는 빨간색 단지?
그런데 빨간색 단지의 경우 단지 언덕이 심해 앞동과 뒷동의 가격차이가 많이 난다고 함.
그리고 27평은 전세 매물이 많지 않지만 30평대 전세매물은 꽤 많은 편
이런 시기에는 많이 하락을 했다면 잔금 범위보다 가격을 높게 봐도 되나?
확실히 서울은 앞마당이 아니라서 잘 모르겠다. 앞마당을 만들어야겠다.
댓글
씨네님 비교평가까지 벌써 하신건가요 ㅎㅎ 저 그래프보고 눈이 커졌습니다. 내일부터는 2주차네요 내일도 화이팅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