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경험담

지금 싼 지역은 어딜까요? 한 판에 끝내는 서울/지방 부동산 시장 정리 [월천1]

24.02.15


요. 월천1입니다.



오늘은 2023년 수도권과 지방이 어떻게 흘러갔었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단지들 가치에 맞게 가격이 올랐다는 것입니다.


서울, 지방할 것 없이 전국이 아파트 가격과 전세가격이 하락했다면 23년은 아파트 가격 상승이 있었습니다.



구별 하나하나 뜯어봤을 때 1군인 강남과 송파는 가치대비 싸진 가격에 매매 거래가 이루어졌고 동시에 전세가격도 올랐습니다.


반면 3군 동작이나 4군 성북, 서대문, 강서는 매매보다 전세로 수요가 몰리면서 전세가격이 오르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23년 상반기에는 3, 4군이 아파트 가격이 떨어지면서 거래가 되던 반면 1, 2군 강남 송파는 가격이 오르면서 거래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강남과 송파 안에서도 단지 선호도 높은 단지들이 특히나 아파트 가격 상승이 높았는데요.


래미안퍼스티지 고점대비 -5%

잠실엘스 고점대비 -9%

송파파인탑 -16%


뉴스에서 자주 나오는 단지 '래미안퍼스티지','잠실엘스' 사람들이 알만한 단지들은 가치에 맞게 가격회복이 빨랐습니다.


3, 4군 랜드마크 아파트 가격을 살펴보면 고점대비 -20% 이상 빠진 상태입니다.


강동구 고덕아르테온 -28%

서대문구 DMC파크뷰자이 -23%

동대문구 크레시티 -25%


대장 단지들 중에서 아직 싸보이는 단지들이 많네요 ㅎㅎ 확실히 매매보다는 전세 상승이 눈에 띕니다.

월세 물량을 지도에 올려보면 서울 전체적으로 전세가 소진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요. 그 중에서 강남구와 강동구 공급으로 인해 전세가 쌓여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강남구는 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 6702세대 입주로 전세가 1500개 가량 쌓여있는 상태입니다.


강동구는 풍경채어바니티 780세대 입주가 있었고 세대수는 크지 않았지만 주변 고덕 그라시움이나 아르테온 전세 물량도 꽤 쌓여있는 상태입니다.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입주가 있더라도 기축단지들은 입주단지 전세가격 만큼이나 떨어지지 않고 거래가 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강남구와 강동구 안에서만 영향을 주고 다른 구까지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지방도 마찬가지로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단지들은 가치에 맞게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1) 천안


천안에서 사람들이 가장 살고 싶어하는 신불당 생활권에 있는 신불당지웰더샵 가격반등이 이루어진 모습을 볼 수 있으나


백석아이파크2차나 두정역해링턴은 고점대비 -20% 빠진 가격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나 천안은 2024년 12월 백석노태포레나 입주와 2025년 두정 입주가 있어 다른 중소도시와 다르게 전세가격이 받춰주질 못하고 있습니다.


2) 전주



천안과 반대로 공급이 없는 전주는 매매와 전세 모두 오른 모습을 볼 수 있고 그중에서 사람들이 좋아하는 생활권 효자동에 위치한 노블랜드 아파트 가격과 전세가격 회복 속도가 빠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서울과 지방 가격 흐름을 함께 살펴봤는데요.


2023년은 확실히 사람들이 좋아하는 지역, 생활권, 단지부터 오르기 시작했고 아직 그 흐름이 오지 않은 곳들도 있어 보입니다.


앞마당 10개가 넘는 분들은 매일 한 지역씩 정해서 지난 달과 비교해서 가격이 어떻게 바뀌어 흘러가는지 시장의 흐름을 살펴보면 좋을 것 같고


앞마당 10개 이하이신 분들은 내 임장지역이 과거에는 어떻게 흘러갔고 지금은 비슷한 급지 지역과 비교했을 때 싼지? 비싼지? 살펴보면 좋겠습니다 :)



댓글


희망보리
24. 02. 15. 15:53

월천님 시장정리방법 제 임보에 적용해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쏭쏭파파
24. 02. 15. 22:34

3,4군도 넓게 넓게 봐야겠네요 전세 시그널도 잘 체크하겠습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