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만원 아끼는 부동산 지식은?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주우이, 너바나, 자음과모음

요. 월천1입니다.
오늘은 2023년 수도권과 지방이 어떻게 흘러갔었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단지들 가치에 맞게 가격이 올랐다는 것입니다.
서울, 지방할 것 없이 전국이 아파트 가격과 전세가격이 하락했다면 23년은 아파트 가격 상승이 있었습니다.
구별 하나하나 뜯어봤을 때 1군인 강남과 송파는 가치대비 싸진 가격에 매매 거래가 이루어졌고 동시에 전세가격도 올랐습니다.
반면 3군 동작이나 4군 성북, 서대문, 강서는 매매보다 전세로 수요가 몰리면서 전세가격이 오르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23년 상반기에는 3, 4군이 아파트 가격이 떨어지면서 거래가 되던 반면 1, 2군 강남 송파는 가격이 오르면서 거래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강남과 송파 안에서도 단지 선호도 높은 단지들이 특히나 아파트 가격 상승이 높았는데요.
래미안퍼스티지 고점대비 -5%
잠실엘스 고점대비 -9%
송파파인탑 -16%
뉴스에서 자주 나오는 단지 '래미안퍼스티지','잠실엘스' 사람들이 알만한 단지들은 가치에 맞게 가격회복이 빨랐습니다.
3, 4군 랜드마크 아파트 가격을 살펴보면 고점대비 -20% 이상 빠진 상태입니다.
강동구 고덕아르테온 -28%
서대문구 DMC파크뷰자이 -23%
동대문구 크레시티 -25%
대장 단지들 중에서 아직 싸보이는 단지들이 많네요 ㅎㅎ 확실히 매매보다는 전세 상승이 눈에 띕니다.
월세 물량을 지도에 올려보면 서울 전체적으로 전세가 소진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요. 그 중에서 강남구와 강동구 공급으로 인해 전세가 쌓여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강남구는 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 6702세대 입주로 전세가 1500개 가량 쌓여있는 상태입니다.
강동구는 풍경채어바니티 780세대 입주가 있었고 세대수는 크지 않았지만 주변 고덕 그라시움이나 아르테온 전세 물량도 꽤 쌓여있는 상태입니다.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입주가 있더라도 기축단지들은 입주단지 전세가격 만큼이나 떨어지지 않고 거래가 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강남구와 강동구 안에서만 영향을 주고 다른 구까지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지방도 마찬가지로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단지들은 가치에 맞게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1) 천안
천안에서 사람들이 가장 살고 싶어하는 신불당 생활권에 있는 신불당지웰더샵 가격반등이 이루어진 모습을 볼 수 있으나
백석아이파크2차나 두정역해링턴은 고점대비 -20% 빠진 가격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나 천안은 2024년 12월 백석노태포레나 입주와 2025년 두정 입주가 있어 다른 중소도시와 다르게 전세가격이 받춰주질 못하고 있습니다.
2) 전주
천안과 반대로 공급이 없는 전주는 매매와 전세 모두 오른 모습을 볼 수 있고 그중에서 사람들이 좋아하는 생활권 효자동에 위치한 노블랜드 아파트 가격과 전세가격 회복 속도가 빠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서울과 지방 가격 흐름을 함께 살펴봤는데요.
2023년은 확실히 사람들이 좋아하는 지역, 생활권, 단지부터 오르기 시작했고 아직 그 흐름이 오지 않은 곳들도 있어 보입니다.
앞마당 10개가 넘는 분들은 매일 한 지역씩 정해서 지난 달과 비교해서 가격이 어떻게 바뀌어 흘러가는지 시장의 흐름을 살펴보면 좋을 것 같고
앞마당 10개 이하이신 분들은 내 임장지역이 과거에는 어떻게 흘러갔고 지금은 비슷한 급지 지역과 비교했을 때 싼지? 비싼지? 살펴보면 좋겠습니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