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대여미입니다.
저는 지기를 재수강하고 있는데요,,!!!
2주차에는 저번 강의보다
더더더 업그레이드 된 게리롱님의 강의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A지역의 입지분석을 해주시면서
'A지역을 이렇게 보세요~'
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게리롱님께서는 어떤 과정으로 입지분석을 하는지,
또 분석한 내용을 어떻게 투자로 연결시키는지!
에 대한 내용들을 배울 수 있는 강의였습니다.
BM하고 싶은 내용들이 많아서
정리해보았습니다.
[입지분석]
ㅣ인구
> 인구 이동을 볼 때에는, 교류가 많은 지역과의 관계를 생각하면서 입지분석하기. 그러기 위해서는 교류가 많은 이유를 파악해봐야 한다.
Before : 아~ 여기는 B지역이랑 교류가 많구나. B지역의 공급을 잘 살피자.
After : 아~ 여기는 B지역이랑 이런 관계여서 수요를 주고받는구나. (B지역의 공급을 볼 때 포인트 파악)
ㅣ직장
> 이 지역은 일자리가 없네? 에서 끝내지 않기. (1) 업종 확인 (2) 관련 뉴스, 기사로 디테일 파악 (3) 위치 체크
> 산단체크는 필수로 해보자. 그래야 빼먹는 게 없음!
ㅣ학군
> 임장지 내에서의 찐학군지를 파악하는 것이 관건이다.
> 지방에서는 학업성취도율+특목고진학률+재학생수 가 중요하다. (기준은 강의에서 확인,,♡)
> 초등학교 볼 때 게리롱님의 꿀팁대로 살펴보기!
> 임장지vs인근지역 수요를 뺏기는가? 가져오는가? 를 파악하기
Beford : C지역 내에서 학군지의 위상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투자범위를 잘못 설정함
After : C지역 내 학군지의 위상을 제대로 알고 투자범위 재설정
ㅣ환경
> 주요 상권 체크 후 분위기 정리
> 주거지로써 선호하는 환경을 체크! (중요)
ㅣ공급(☆)
> 역전세 위험이 있는가? 1등이 바뀔 가능성이 있는가?에 대한 답을 내기
> 매매/지수 그래프를 보면서 어느 정도의 물량을 소화해내는가 가늠해보기
ㅣ교통
> 각 생활권 주변으로 지나가는 주요 도로 파악하기
이 외에도
가격에 대한 감을 잡는 방법,
생활권끼리 가격대 비교평가 해보는 방법,
지방에서 저평가, 저가치를 구분하는 방법,
신축택지 가격보는 방법 등등..
게리롱님께서 지방을 다니시면서
쌓아올리신 경험들을
축적해서 알려주신 강의였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시세파트에서
단지들의 가격을 어떻게 보는지 자세히 알려주셨는데요.
제대로 소화하기 위해서라도
A지역에 직접 다녀와서
다시 복습을 해야겠다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마지막으로
A지역에 대한 입지분석도 중요하지만
입지분석과 이를 투자로 연결시키는 방법 + 시세를 바라보는 방법에 대한
튜터님의 사고과정을 함께 들여다 볼 수 있다는 점이
가장 좋았습니다.
긴 시간 좋은 강의 해주신
게리롱님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댓글
대여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