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찡찬해입니다.
2024년 2월도 끝나가고있습니다.
지난 여름 첫 지기반 수강하고 이번이 재수강입니다.
지난번 수업과 다르게 중소도시에 관한 커리큘럼으로 되어 있어서 저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며 중소도시 앞마당을 늘려야겠다는 새로운 다짐도 만드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번 2주차 강의는 지방 지역분석의 방법에 관해서(저가치/저평가 구분하는 방법) 큰 주제와 중소도시 C지역에 대한 상세 분석을 해주셨습니다.
2주차 강의
"지방 지역분석의 주의점(저가치vs저평가 구분하는 방법)"
게리롱님의 알찬 강의 감사드립니다. 게리롱님의 예시 설명은 너무 찰떡이라 이해도 잘되고 또한, 익숙한? 예시를 가져오셔서 더 좋았던 것 같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양질의 강의를 해주신 게리롱님께 먼저 감사드립니다. :)
2주차 강의
"지방 지역분석의 주의점(저가치vs저평가 구분하는 방법)"
저는 이번 강의를 통해서 3가지 포인트를 선정하고 어떻게 느꼈으며 어떻게 적용하고 행할 것 인지에 대해
생각해보았습니다.
꺠닫다01)
투자랑 연결되는 임보쓰기!!
현재까지 임보를 쓸 때 많은 내용을 넣으려는 욕심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이번에 강의를 들으면서
입지의 학군, 환경, 인구 등이 왜 필요한지 어떻게 투자랑 연결 시킬수 있을지 다시 한번 더 생각해보았습니다.
특히, 학군 부분에서 타지역에서 C지역으로 학군수요가 발생되는 지역이라는 점에서 이전 까지 생각해보지 못했던 어쩌면 좁게만 생각했던 생각을 확장을 할 수 있었습니다.
적용하다01)
임보를 쓸 때 투자와 연결되도록 핵심부분 위주로 임보를 쓰는데 집중하겠습니다.
과한 자료 보다는 활용가능한 자료만 사용 하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입지분석과 투자를 연결 할 때 각 입지분석 포인트에서 선호할만한 요소들을 각 생활권 지역에 매칭시키면서 선호도를 파악하는 부분을 활용해보겠습니다.(체크부분 겹치는 부분 )
꺠닫다02)
저평가 저가치에 대한 구분을 할 수 있는 강의였습니다.
그전부터 저가치 부분에 대한 궁금증이 많았지만 확신을 가지지 못했는데 이번 강의를 통해서 지방에서 어떠한 부분이 저가치일지 배우게 되었습니다. 찰떡같은 예시로 단번에 이해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적용하다02)
이번 임장지에서 저가치에 해당 될 부분에 대한 고찰을 해보고 그 지역에 관한 저가치 표기를 임보에 따로 작성해보겠습니다. 왜 저가치인지 임보에 한번 녹여보겠습니다.
꺠닫다03)
전세가율에 대한 생각을 다시 해보게 되었습니다.
그전까지 매매가의 흐름 전세가율 정도만 판단을 해보았지 전세가의 흐름에 관해서 생각을 해본적이 없었습니다.
전세가가 과거부터 어떠한 흐름으로 변화되어왔는지도 지방에서 그 단지가 어떠한 가치를 가질수 있는지 생각해볼 수 있다는 점 배웠습니다.
적용하다03)
그래프를 통해 과거부터 전세가의 흐름을 보고 그 단지가 저가치일지 판단 해보고 어느정도 실수요를 가지는지 그리고 매매가와의 벌어지는 차이를 보고 가수요를 판단 해보는 시선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꿈은 목적지가 아닌 항해 그 자체이다."
목적지만을 향해 달려가다보니 요즘 주변을 잘 못챙기고 있습니다.
또한 제스스로도 못챙기고 있습니다. 좀 더 그 항해를 길게 보고 그 항해 그 자체 꿈을 계속해서 실현해나가도록 임하겠습니다. 항상 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찡찬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