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3강 강의 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18기 아임블루]

  • 24.02.25

몇 해 전 겨울, 우리가족은 D지역으로 여행을 갔다.

지난해 여름, 나는 D지역에서 여름휴가를 보냈다.

지금까지 내 삶에서 D지역은 그런 곳이었다.

그나마 몇 번 가본 적이 있는 D지역은 익숙하기까지 하다.

E지역은 말 그대로 지역명만 안다.

아주 먼 중소도시!

그런데 이런 곳에도 투자를 한다고???

낯설다고 말하기도 애매한 아예 모르는 지역에 대한 부동산 투자 강의!

걱정반 기대반으로 듣기 시작한 강의는

초반엔 걱정 99%, 중반엔 걱정반 기대반, 마지막엔 기대 99%로 마무리 되었다.


'모른다'는 말 밖에 할 수 없는 지역이라 초반엔 어렵게 느껴졌다.

그러나 두 지역을 번갈아 가면서 각 지역의 특징을 설명해주니 저절로 비교가 되고 두드러진 특징이 머릿속에 남았다.


9시간 가량의 긴 강의를 다 듣고 몇 가지 기억에 남는 것을 기록해본다.


망구99님은 단지임장 가서 '느낌'을 본다고 했다. 무슨 말인지 알 것 같다.

아직 서툰 내 '느낌'이 틀릴 수도 있지만 그 아파트만의 '느낌'을 갖는 건 굉장히 중요한 포인트라는 생각이다.


망구99님은 처음부터 끝까지 반복적으로 '가치'와 '가격'을 강조했다.

  1. 그 아파트는 가치가 있는가?
  2. 그 아파트는 가격이 싼가?

이 두 가지 질문을 머릿속에 각인시켜야겠다.

망구99님은 공급물량이 많은 지역은 당연히 큰 리스크가 존재하지만 그렇다고 투자기회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니고 투자기회를 삼아야할 포인트를 짚어주셨다.


망구99님은 투자의사결정시 체크해야 할 부분이 리스크와 기대수익 뿐 아니라 기회비용까지 염두에 두어야 함을 사례로 설명했다.

기회비용은 미처 생각하지 못했는데 간과하지 말아야겠다.


특히 인상깊었던 것은

시세트레킹에 대한 부분이었다.

이제 몇 개월 밖에 안되는 월부수강생라서

시세트레킹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는데

아하! 하며 무릎을 치게 만들어 주셨다.


시세트레킹을 하는 이유

그 지역의 분위기를 알려주는 정찰병을 두는 것!

그럼으로써 그 지역의 시장 흐름을 파악한다.

1달에 1번, 날짜를 정해두고 반드시 한다.


"드리고 싶은 이야기"라는 제목의 마지막 챕터에선

투자로 연결하는 시기별 성장 포인트와

어느 시장에서나 투자할 수 있는 사람이 되는 과정까지

깔끔하게 정리하고 마인드셋까지 해주어

3주차라 지쳐있는 수강생들에게 용기를 북돋아주는 모습이 참 멋졌다.


댓글


아임블루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