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1. 책 제목: 본깨적
2. 저자 및 출판사: 박상배
3. 읽은 날짜: 2023.02.27
4. 총점 (10점 만점): 10점/ 10
살아있는 책읽기는 1. 독서 마인드셋 2. 본깨적 독서법, 3.북 바인더로 구성된다.
이것이 삶을 바꾸는 책 읽기다.
저자의 핵심을 제대로 보고(본것), 그것을 나의 언어로확대 재생산하여 깨닫고(깨닫은 것), 내 삶에 적용하는(적용할 것) 책 읽기를 의미한다. 책을 읽었는데도 삶에 아무 변화가 없었던 것은 책을 제대로읽지 못했거나 읽었어도 읽은 것으로만 끝났기 때문이다.
저자의 관점에서 보라.
깨닫고 적용해야 삶이 변한다.
속독의 열쇠는 배경지식에 있다.
골라 읽기와 정독의 조화가 필요하다.
정보 과부화로 인해 실행을 하지 못하는 불상사를 막기 위해서는 많은 정보를 얻기보다는 적은양이라도 중요한 정보를 중심으로 여러번 반복하면서 읽고 배우는 것이 좋다.
실행을 방해하는 원인 중 빼놓을 수 없는 것은 부정적 사고 방식이다.
책을 잘 읽기위해 꼭 해야할 세가지 질문
1.이 책과 나의 연관성은?
2.책의 예상 핵심 키워드는?
3.이 책에서 얻고자 하는 것은?
책을 읽기만 하고 쓰지 않으면 책을 깊이 있게 이해하기 어렵다.
활용도를 높이려면 제대로 써보는 과정이 필요하다. 책이 전하고자 하는 중요한 내용을 적어보고, 책을 읽고 깨달은것과 적용할 것도 다시 한 번 정리해 본다.
핵심 요약정리로 본 것 한눈에 정리하기기
최대한 도형이나 표, 화살표 등을 이용해 이미지화하면 도움이 된다.
깨달은 것과 적용할 것은 사유를 바탕으로 적어야 한다.
단순히 중요한 문장을 옮겨적는 수준을 넘어 본 것의 핵심 내용을 요약정리하려면 생각을 많이 해야 한다.
-저자의 핵심을 보기 위한 세 가지(sky)
책을 볼 때는 내가 아닌 저자의 관점에서 저자가 어떤 내용을 말하고 싶어 하는지 핵심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각각 주제, 키워드, 인상적인 구절을 의미한다.(sky)
-좀 더 깊은 깨달음을 위한 세 가지(mak)
깨달음이 행동을 유발하는 일종의 동기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동기 ,역할 모델 , 지식이 깨달음의 범주에 포함된다.
저자를 역할 모델로 삼고 질문을 던지고 스스로 답을 고민해 본다.
-적용을 더 잘하기 위한 세 가지(Kia)
개선, 아이디어, 적용은 개선과 아이디어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본깨적 책 읽기는 오감을 동원할 때 극대화된다.
손으로 읽는 것에 낭독을 더한다.
인문학 책을 읽기,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문학책 - 저자의 생애과업적, 시대적 상황, 소설의플롯 을 알아보고 파악(구성)
미리 등장인물의 구조도를 그려두면 책을 읽는 데 도움이 된다.
끊임없이 질문하고 재해석하며 읽는다.
철학책- 생각을 많이 할수록 더 많은 것이 보인다.
꼭꼭 씹어가며 읽는다는 것은 의미를 생각하며 여러 번 반복해서 읽는다는 뜻이다.
자신의 생각을 돌아보며 읽는다.
북 바인더, 책과 삶을 하나로 묶다.
= 독서습관 + 지식자서전
습관적으로 책을 읽으려면 목표가 분명해야 한다.
독서 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울수록 습관을 들이기 쉽다.
읽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실천이다.
바인더는 기본적으로 원북, 원 메세지, 원 액션을 원칙으로 한다.
-책을 읽는다는 것을 읽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깨닫고 적용해가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저자의 의도와 관점을 파악하고 핵심을 요약하고 삶에 적용할 때는 사유를 바탕으로 한다.
-저자의 관점에서 보라
-지식자서전을 적어본다.
-책을 읽을 때 사전정보를 파악 후 읽는다
책과 함께라면 건너지 못할 웅덩이가 없다.
댓글
당근송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