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월부은 독서 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35기 48조 나무늘보]

  • 24.03.01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라

2. 저자 및 출판사: 너나위, RHK

3. 읽은 날짜: 2024.02.29

4. 총점 (10점 만점): 10점/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WHY & DIRECTION]

#노후 #직장인의 투자 전략 #레버리지

자본주의에서 인플레이션은 필연적이며, 현금 가치가 낮아질 수밖에 없으므로 노후의 경제적 안정을 위해서 투자는 반드시 해야만 하는 것이다. 직장인의 투자 전략은 돈을 최대한 모으고, 그 돈을 소비자산이 아닌 생산 자산을 사는 데 써야 한다. 그리고 각각의 투자 수단(사게 될 생산 자산)의 특징을 공부해서 제대로 알고 자신에게 맞는 것이 무엇인지 찾아야 한다.

[WHAT & CONCEPT]

#전세금 레버리지 #성공 투자를 위한 필수 지식

전세 보증금은 무이자로 돈을 빌리는 것과 같으므로 전세 보증금을 레버리지하여 자산을 사는 방식의 투자를 전세투자라고 한다. 전세투자자는 매매 뿐만 아니라 임대 과정에도 신경을 써야 하며, 성공의 핵심은 저평가된 아파트를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아는 지역을 늘려가야 한다. 우선 서울시의 경우 구 단위로 5곳, 그 외 지역의 경우 시 단위로 5개 이상의 지역을 선정해서 알아가라. 그리고 그 안에서 가치(입지) 대비 싼 물건을 찾고, 그들 중에 전세가율이 높아 투자금이 적게 드는 물건에 투자하라.

[HOW & MIND]

#투자 기준 #돈 버는 실전 투자법 #돈 그릇 키우기

간결하고 확실한 투자 기준(저평가, 적은 투자금, 감당할 수 있는 리스크)을 수립하고 싸다고 느껴지며(져평가) 전세가율이 높은 곳(적은 투자금)을 주기적으로 탐색하고 임장한다. 현장조사를 통해 가장 투자하기 좋은 물건부터 아닌 물건까지 순위를 정한다. 매매만큼 임대도 중요하므로 수월한 임대 조건(가격, 집 상태, 입주 가능 시기, 부동산중개인)을 항상 기억한다.

돈 그릇을 키우고 싶다면 부동산 투자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변해야 한다. 또한 조급함을 버리고 꾸준함을 갖춰야 하며, 함께 오래 갈 동료를 찾아라. 좋은 동료를 만나기 위해서는 내가 먼저 좋은 동료가 되어야 한다. 투자는 평생해야 하는 일이므로, 가족과의 관계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1. 재테크의 중요성: 급여만으로는 부자가 될 수 없으며, 투자를 통해 소득을 늘려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2. 부동산의 가치: 부동산은 안정적인 수익원이 될 수 있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가치가 상승하는 특성이 있다.

3. 재무 관리의 필요성: 투자는 단순히 돈을 벌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자신의 재무 상태를 관리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도구이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1. 10호기 투자까지는 경험을 쌓는 과정이라고 생각하고 적은 투자금으로 다양한 지역과 상황에 투자하기

2. 앞으로 3년 동안은 월부의 투자 환경 내에서 꾸준히 독/감/임/투 하기

3. 거시 경제와 부동산 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은 꾸준히 하되, 시장 환경 변화에 조급함 갖지 않고 앞으로도 투자 기회는 많다는 생각으로 내 페이스 대로 투자 진행하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 84) 투자라는 것이 무엇보다 끈기가 필요한 장기전이라는 사실을 절절히 깨닫는다. 그 과정에서 포기하지 않고 앞으로 나아가려면 내가 지금 무엇을 하고 있으며 투자의 길에서 어디쯤에 있는지 중간중간 체크해야 한다.

(P.223) 처음부터 가급적 팔지 않을 가치 있는.부동산을 매입해야 한다. 동시에 바로 2년 뒤가 아닌 10년 뒤를 바라보는, 즉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투자에 접근해야 한다. 부동산 투자는 결국 시간에 투자하는 것이다.

(P.262) 아무리 적은 투자금이 들어도 저평가된 상태가 아니라면 투자하지 않고, 저평가된 상태라도 투자금이 너무 많이 든다면 투자하지 않는다. 저평가된 상태에 투자금이 적게 든다고 해도 예상되는 리스크가 내가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이라면 과감히 투자를 포기한다.


댓글


나무늘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