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경험담

서울 한채? 지방 두채? 고민하는 분들께

  • 24.03.13






2억으로 서울 한 채할까?

1억씩 광역시 두 채할까?


1억씩 지방에 투자하자니

서울 기회를 놓치는 것 같고...


지금 2억을 한 번에 넣으려니

앞으로 더 좋은 기회가 오면 어떡하지?




월급쟁이 부자들 카페 원글로 이동(클릭)

https://cafe.naver.com/wecando7/10733442





서울투자 vs 지방투자

언제나 핫한 키워드인데요.


최근 두 시장 모두

투자기회가 열리면서

더욱 화두가 되는 것 같습니다.



저도 최근 비슷한 고민을 하면서

제가 어떻게 고민을 해결하고

결정을 내렸는지

그 방법을 공유해드리며


비슷한 고민을 하시는 분들께서

투자를 결정하시는 데에

도움 되셨으면 합니다.




1. 서울 vs 지방 (X)

단지 vs 단지 (O)



서울이냐 지방이냐

고민은 열심히 하는데

혹시...


고민'만' 하고 계시진 않나요?



우리가 고민해야 할 것은


종잣돈을 쪼갤것이냐

1채에 넣을 것이냐

서울이냐 지방이냐


가 아니라


'어느 단지'에 투자할지를

고민해야 합니다.


'서울 투자 vs 지방 투자'에 대한 고민은

지금 이 시간부로 멈춰주시고


서울 ○○단지

서울 □□단지

지방 △△단지

지방 ☆☆단지


실제 단지들을 후보에 놓고

고민을 해야 결정도 할 수 있습니다.




2. 단지를 찾아봅시다



서울 2억 한 채 vs 지방 1억 두 채

고민하시는 분들께

질문드립니다.



2억으로 투자할 수 있는

서울 아파트, 어느 단지인가요?


1억으로 투자할 수 있는

지방 아파트, 어느 단지인가요?



제가 바로 이 지점에서 막혔습니다.


2억으로 서울 할까?

1억으로 지방 할까?


그런데...

2억으로 서울 어디 투자할 수 있는데?

1억으로 지방 어디 투자할 수 있는데?


스스로 자문해보았을 때

단지가 선뜻 떠오르지 않았습니다.



그때부터 제 종잣돈에 맞는

단지들을 찾아보았습니다.



투자금에 맞는 단지를 찾는 방법

크게 아래 두가지가 있습니다.


1. 네이버 부동산에서 단지를

하나하나 눌러보는 방법

2. 아실에서 [갭 N억이하] 기능으로

확인 후 네이버 부동산에서 찾는 방법

(주로 수도권에서 찾을 때)



▼아실에서 투자금별 단지 찾는 방법



① 상단 필터에서 평형, 세대수 입력
② 상단 필터에서 갭 설정

(실제 투자금+1억으로)


필터해서 보니

서북권에서는 종로, 서대문, 은평
동북권에서는 동대문과 성북의

단지들이 나오네요.

(+지도 이동하며 수도권 전체 확인)



그리고 네이버 부동산에서

실제 투자금에 들어오는

단지들을 찾아보았습니다.


투자금 2억 후보 서울 A단지

투자금 2억 후보 서울 B단지

투자금 1억 후보 지방 C단지

...


이렇게 실제 단지를 리스트업한 후

다시 고민해보았습니다.



.



매전차 2억인 서울의 두 단지

지방의 투자금 1억 단지를 찾아

생각해봅니다.


지방에 1억씩 두 채 투자했을 때

지방의 저 단지들 수익이 얼마나 날까?

200% 수익률이면 4억..

서울에서 4억이 오르려면

서울 단지들이 11~12억이 되어야 하는구나



그리고는 또 고민이 듭니다.


서울 4급지에 돈 다 쓰고

더 좋은 기회 오면 어떡하지?


지방 물건 팔기 전에

서울 기회 놓치면 어떡하지?




3. 과거를 살펴보자



어떤 일이든 고민이 될땐 주로

제가 잘 모를 때더라구요.


그래서 다시 찾아보았습니다.


예시의 서울 두 신축 단지 가격

7.9억/6억 전세가율 75%
7.1억/5.2억 전세가율 73%



서울투자의 최적기였던 2016년

당시 신축이었던 2011년식 단지들

전세가율이 75%였던 시점부터

상상여행을 해보았는데요.




공급/금리/경제상황 등

여러 요소에 따라 상황은 다르지만


'10년 전 그때

전세가율 75%일때부터

4년동안 매매/전세 1억 올랐구나.


10년 전 1억이면

지금은 2억정도?


4년 후 전세가율 83%로

오히려 투자금이 줄었네'



이를 살펴보고 나서

앞에서의 고민이 해결되었습니다.



'서울에 올인했다가 더 좋은 기회오면?'


☞ 당시 8~9천만원으로 서울에 투자하고

4년 뒤 1억이상의 전세 상승분을 받아서

여전히 서울에 투자가 가능했다.

(+4년간 저축한 돈도 있겠죠)



'지방 투자했다가 서울기회 놓치면?'


☞ 2013년에 전세가율 75%이던 단지가

2017년에 전세가율 83%로 올랐다.

4년동안 지방에서 돈과 실력을 불려

서울에서 여러 채 투자할 수 있겠다.




4. 그래서 결론은?



이렇게 실제 단지를 찾아

지방 단지의 수익률

서울 단지의 수익률

비교해보고


과거복기를 통해 시장을 느껴보니


'제 개인 상황과 목적에 따라

그리고 가족의 의견에 따라

결정하면 되겠다'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서울에 투자하든

지방에 투자하든

'노후를 준비한다'는 목표에는

둘 다 부합하겠더라구요.


어쩌면 지역보다 중요한 건

'가치 대비 저평가'를 알아보고

이를 실전투자라는 행동으로 옮기는

용기와 실행력이 아닐까 싶습니다.




정리해볼게요.


2억으로 서울 한 채 vs 지방 두 채


1. 서울 vs 지방(X) 단지 vs 단지(O)

: 시장이 아니라 아파트를 고르자


2. 투자금 2억 서울 단지

투자금 1억 지방 단지를 찾아보자.

: 아실과 네이버부동산


3. 고민이 된다면 과거를 살펴보자

: 전세가율이 동일한 과거 시점을 찾고

4년간 전세가율과 전세가 변화 확인


4. 서울이든 지방이든 투자하자.

: 투자를 해야 돈도 번다.




이렇게 제가

서울 한 채 vs 지방 두 채

에 대한 고민을 해결해나간 방법

공유해드렸는데요.


서울과 지방 모두

투자하기 좋은 요즘 시장에서

기회를 잡아내실 여러분을

응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월부 추천글(클릭)

안된다던 그 집은 왜? 3천만원 깎였을까?








좋은 글을 남겨주신 멤버에게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로 감사함을 나눠주세요. 😀

댓글


트레비홀릭
24. 03. 13. 07:15

우도롱님, 제가 고민하던 부분인데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독과점
24. 03. 13. 08:54

결국은 단지대 단지로 봐야하고,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 맞는 말씀이네요! 감사합니다.

먹부기
24. 03. 13. 15:46

나눔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