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실전26기 다같이 1찍 일오나 임장7ㅏ조 김꾸이] 2주차 강의 후기

  • 24.03.19

■ 본 것

  1. 전세가가율이 차오르지 않았는데 대세 상승장이 온 적은 단 한번도 없다.
  2. 서울 평균 전세가율 70%의 시기가 반드시 오게 되어 있다.
  3. 전세가가 뒷받쳐 주지 않으면 좋아하는 단지만 올랐다가 다시 떨어진다.
  4. 신축 59 vs 구축 84, 둘다 싸고, 갭이 비슷하다면 신축 59
  5. 단지 선호도 구분 시, 과거 입주 물량 때 해당 단지의 매매, 전세 얼마나 조정되었는지 비교(입주 없다면 대장 단지를 기준)
  6. 단지를 보며 내 앞마당 내 다른 지역의 단지와 비교할 수 있어야 한다.
  7. 유명 학군지는 이미 정해져 있다. 그렇기에 학군지의 의미는 단지 인근에 초등학교와 학원가가 있는지로 구분
  8. 학원이 100개 이상이면 좋은 학원가
  9. '수도권 평균 이상&지방 최상급지'와 '수도권 평균 이하&그 외 지방'과는 주요 선호요소가 다르다.
  10. 새벽보기님은 전화 임장 시, 요즘 투자자와 실거주 중 누가 많이 사는지와 해당 물건의 조건 or 상태가 어떤지 물어보신다.
  11. 새벽보기님은 단임과 매임 시 랜드마크를 가장 마지막에 간다.
  12. 매물 보는 횟수를 채우는 것을 강력히 권장
  13. 부동산 1번 가지 않는다. 물건 찾을 때까지 반복해서 간다.
  14. 현재는 마통을 미리 뚫어 놓기보다 얼마까지 한도나 나오는지 체크해 놓거나, 주담대를 받기 전에 마통을 해지하는 것을 추천


■ 깨달은 것

  1. 매매가가 올랐거나 오르는 추세라고 해도 전세가가 그대로면 조급 X
  2. 전화 임장은 거주민만 아는 선호도를 알아내는 것과 나의 예비 투자파트너(부동산 사장님)을 찾는 것
  3. 물건은 매주 무조건 나온다. 찾지 못한건 내가 놓친 것


■ 적용할 것

  1. 싸게 살 수 있다면, 그래서 잔금을 치뤄야 한다면, 그렇게 하자
  2. 물건에 마음을 빼앗겨 조급하게 사지 말자. '찾아보면 이거보다 좋은 물건이 있을 것이다'라는 생각하기
  3. 단지 임장할 때 휴대폰은 가급적 휴식할 때 보고, 최대한 단지들을 보기
  4. 단지 임장하면서 좋아보이는 단지는 그래프 스캔해 놓고 매임 후보 우선순위 단지 20~30개 정하기
  5. 한 달에 임장지 최소 15회 이상 가기
  6. 전화 임장하면 조원들에게 공유하기
  7. 매임 시 안 좋은 순서부터, 랜드마크는 마지막에 가기
  8. 생활권 별 대표하는 신축&준신축&구축의 기준점이 되는 단지를 정해서 다른 단지들과 비교하기
  9. 생활권 1개당 부동산 4~5개, 부동산 1개당 3개 단지 보기
  10. 사장님보다 더 많은 정보를 알아도 조용히 있기
  11. 부동산 만남 시, 동 입구에서 만나지 말고, 사무실로 갈 것
  12. 부동산에서 가장 먼저 물어봐야 하는 건 매물에 대한 것(가격 및 전세 세팅 질문 위주). 그 다음에 그 외의 것들을 물어보기
  13. 협상 or 투자를 시작하기 전, 장전 가능한 최대 총알 확인하기
  14. PLAN B(다른 물건)을 가지고 협상 시 1차 제시가는 내가 생각한 목표가보다 낮게 제시
  15. 매도자에게 이사날짜를 고정하지 않고, 유동적으로 맞추도록 미리 요청하기
  16. 매수 결정 전, 등기부등본, KB시세 확인하기
  17. '이거 해도 되나?' 싶을 땐 잠시 보류하고 알아보기

댓글


힘꾸천
24. 03. 19. 14:55

꾸이님 디테일 한 후기 너무 잘 읽었습니다!~ 과제하시느라 정말 고생 많으셨어요!!~~

아기사자심바
24. 03. 19. 14:56

와 꾸이님 정리 잘 하셨네요~ 고생하셨습니다!

신콤
24. 03. 19. 15:15

와웅 꾸이님 정리👍👍복습하는 느낌이네용 완강하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