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돈 버는 독서 모임] 사요마요 - 독서 후기 [중꺾자]

  • 24.03.24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사요마요

저자 및 출판사 : 김현준 / 위즈덤하우스

읽은 날짜 :  2024.03.16~2024.03.24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PER #가치투자 #투자철학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7점




1. 저자 및 도서 소개 

: 김현준

: 더퍼블릭자산운용 공동창업자 겸 대표이사로 재직 중. 기존 틀을 깨고 새로운 길을 개척하는 것을 좋아하는 마음으로 창업하고 자기자본 60억 원, 운용자산 1,200억 원의 금융벤처가 되었다. 해당 도서는 그의 신간으로 돈독모 도서로 선정되어 주식으로 돈 벌기를 바라는 사람들에게 갈고 닦아야 할 사항들에 대해서 알려준다.



2. 내용 및 줄거리

: Part1. 돈을 벌어야 투자입니다 -> 주식의 기초와 가치투자에 대한 이야기

: Part2. 코스피3000에 들어와 강제로 장기투자 하는 분, 주목하세요 -> 주가 하락, 차트, 손실, 금리 인상 등 흔들리는 장에서 버티기 위한 이야기

: Part3. 남들이 좋다고 해도 무작정 하지 마세요 -> 무엇을 투자할 것인지에 대한 심도 깊은 이야기

: Part4. 주식으로 돈을 벌고 싶다면 이렇게 해야 합니다 -> 돈을 벌기 위한 투자자가 되는 방법. 무엇을 공부하고 무엇을 봐야 하는지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 주식이라고는 회사 주식과 어릴 적 지인이 알려준 작전주?의 투자 경험 밖에 없고, 회사에서 모종의 이유로 DC형이 되면서 반강제로 ETF를 투자한지 약 2년이 지났다. 개별 주를 사는 것이 얼마나 어렵고 가치를 알아보고 구매/판매 한다는 것이 쉽지 않음을 체감한 상태에서 주식으로 돈을 벌려면 이렇게 해야하는 구나를 알게 되었다.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PER에 대한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 다만 아직도 해당 용어가 '환율'을 처음 만났을때처럼 잘 와닿지 않고 ROE나 PER이나 뭐가 다른거지? 라며 갸우뚱 거리지만 추후 재독을 통해 해당 내용이 어떤 것인지를 알아보면 고급 투자자가 되어 자산의 일부분을 주식으로 투자할 때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주식과 부동산에서 발로 아파트를 밟으며 다니는가 주식을 투자할 회사를 다니는가의 차이이지만, 중요한 원칙은 비슷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마지막에 적힌 김현준 대표가 계산한 자신의 꿈을 돈으로 환산한 부분이 뜬구름 잡지 않고 현실적인 가치를 보여줘서 좋았다.



5. 책을 읽고 논의하고 싶은 점은?(페이지와 함께 작성해 주세요)

P 000 (전자책인 경우 전자책이라고 작성 부탁드립니다😊)


P29 : 그래도 하나를 고르자면 PER을 선택하겠습니다. PER은 Price Earnings Ratio의 약자로 주가이익비율 정도로 해석됩니다.

-> PER과 ROE의 차이점은? 기업의 사례를 통해 이야기를 할 수 있는가?


P60 : 적당한 기업을 싼 가격에 사지 말고 훌륭한 기업을 적당한 가격에 사라

-> 현재 하고 있는 투자활동에서 우리가 적용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P158 : 바로 이때가 테슬라에 투자해야 할 때입니다. 주식시장에 비관론이 판쳐 미래 가치는 하나도 반영해주지 않을 때요.

-> 부동산 투자를 시작할 때란 과연 언제인 것인가? 주식과 부동산의 차이는 무엇인가?


P173 : 좀 더 구체적인 투자 아이디어를 생각해봅시다. 경영자가 믿음직스럽다거나 신제품이 흥행할 것 같다거나 신제품이 흥행할 것 같다거나 영위하는 사업이 미래 유망 산업이라거나... 뭐든 좋습니다. 이걸 솔직하게 글로 적어보는 거예요.

-> 아파트 단지 분석때에도 상세하게 적어봐야 하는 사항이다. 본 글을 바탕으로 아파트에 적용한다고 했을때 기존과 어떤 부분을 달리 이야기할 수 있겠는가?


P178 : 저는 그럴 때마다 투자 거장의 책을 꺼내 들어요.

-> 투자 활동에 현타가 올때 우리가 읽는 책은? 그리고 그 이유는?


P185 : 주식도 그런 것 같아요. 이게 제 투자 철학 1번입니다. 모른다

-> 본인만의 투자 철학중 no1을 꼽는다면?


P205 : 제가 전작 <부자들은 이런 주식을 삽니다>에서 "부자들은 빚을 사랑한다" "착한 빚은 이런 것이다"라고 말한 건 어디까지나 투자 실력 또는 사업 수완이 충분히 뒷받침될 때에 한한 얘기입니다.

-> 레버리지를 적용함에 있어 본인이 느끼는 유의사항과 적용점은 무엇인가?



6. 연관 지어 읽어 볼 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 엠제이 드마코(MJ Demarco)의 부의 추월차선


댓글


중꺾자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