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주우이, 너바나, 자음과모음

아파트 수익률 보고서 작성 : 왜(why), 어떻게(how) 써야하는지
1강에서부터 계속 들었던 입지를 평가하는 기준에 대해 다시 한 번 배우고, 어떻게 기준이 되는 자료를 조사하고 정리해야 하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정보를 계속 받아들이는 입장에서 가끔은 어떤 자료를 어디서 구해야 하는지 조차 너무 헷갈리고 어려웠었는데, 시중에 있는 수많은 자료 중에 어떤 자료를 골라서 어떤 방식으로 정리해야 하는지 이번 기회에 정리하게 되어 의미있는 시간이었습니다.
듣는 것과 행하는 것은 다르다!
두달 동안 강의를 들으며, 어떻게 보면 실제로 자료를 조사하고 정리해보는 첫번째 시간이었습니다. 강의를 들을 때는 이해가 잘되게 떠먹여 주셔서 그런건지, 금방 따라 할 수 있을 것 같았는데.. 지식으로 알고 있는 것과 할 줄 아는것은 완전히 다른 영역이었습니다. 또 과제를 하며 스스로의 생각의 흐름을 정리하며, 몰랐거나 의문이 생기는 부분이 새롭게 생기는 경험도 하였습니다. 앞으로 강의를 들으며 '學'하는 시간과 더불어 직접 '習'하는 시간을 늘려나갈 수 있도록 하려고 합니다.
비싼게 좋은 것 = 당연한 것
아파트 가격을 보면서 좋은 위치에 있는 좋은 아파트가 제일 비싼걸 보며 '그럼 저 아파트 가격이 어쩌다가(?)떨어지면 그 기회를 포착하면 되는 건가? 근데 그런 순간이 오긴 하나'라는 생각을 한 적이 있었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니 비교평가에 대해 잘못 이해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던 것 같습니다. 강의에서 들었던 '가치대비 저렴한 물건'은 제가 생각했던 것처럼 어쩌다가 갑자기 운좋게 만난 물건이 아니라, 비슷한 입지 위상에서 가격 차이가 있는지, 아니면 같은 가격에서 입지가 좋은 물건이 어떤 것인지 가려내는 것 이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왜 임장을 다니고, 알고 있는 지역을 늘려나가야 하는지 그 이유에 대해 확실히 깨닫게 되는 강의였습니다.
투자의 순서 지키기 : 저평가 여부 확인 -> 투자기준 확인 -> 실투자금 확인
실투자금에 끼워맞춰지는 적당한 가격의 물건 (filter..)해서 먼저 보는 식으로 거꾸로 하지 않기
답정너 금지
목표하는 지역, 단지 정해놓고 그 안에서만 생각하지 않기. 앞마당 천천히 늘려나가기
질문하기, 적당하게 하지 않기
그만하면 잘했다고 생각하지 않고, 모르는 것 덮어놓고 대충 알것 같다고 생각하지 않기.
질문에 대해 답변을 들었다면, 적용은 최대한 빠르게 하기.
댓글
부선이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