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실전26기 다같이 1찍 일오나 임장7ㅏ조 김꾸이]

  • 24.04.03

■ 본 것

  1. 현재는 하락장 3년차, 단지 마다 가격의 흐름이 다르게 움직이는 상황이다.
  2. 수도권은 같은 급지끼리 비교, 급지가 다르면 비교가 어려움
  3. 1군 구축 vs 3군 신축, 역세권 구축 vs 비역세권 신축, 서울 vs 경기도
  4. 사람들이 좋아해 매매가격 상승의 힘이 더 크고, 돈을 더 주고도 전세를 살 수 있는 단지를 선택해야 한다.
  5. 투자의사 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단지끼리 비교평가가 중요
  6. 강남 접근성이 전부가 아닌 동네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수요를 끌어들이는 학군지. 이것은 임장을 통해 알 수 있는 특징.


■ 깨달은 것

  1. 강남 1군에 있는 아파트 vs 강동구 3군에 있는 아파트. 아파트를 가보지 않고 지도만 보고 선택한다면 강남에 있는 아파트를 선택하겠지만, 실제로 임장을 해본다면 강동구에 있는 아파트가 더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음
  2. 이번 강의를 통해 지역 내 - 생활권 내, 생활권 간의 비교평가, 지역 간 - 같은 급지끼리 비교평가, 다른 급지끼리 비교평가를 세세히 알 수 있게 되었다.
  3. 강남 접근성 10분 내외의 차이라면 큰 차이가 없기에 환경, 학군으로 비교
  4. 20평대 방 2개는 아기를 낳게 되면 바로 이사를 가지만, 방 3개는 방이 좁아도 거주 수요가 있다.
  5. 계단식과 복도식의 차이를 알게 되었다.
  6. 대형 평형이 구성되어 있는 단지만의 이점은 주차가 여유롭고 단지 관리가 잘 될 가능성이 높다.
  7. 같이 모여있는 단지들끼리는 강남 접근성에 큰 차이가 없고, 주변 환경 등을 공유 하기 때문에 차별적인 요소를 찾기 위해선 방 구조 및 각 단지가 가지는 평형 구성, 단지 관리 상태까지 세세히 비교해봐야 함
  8. 다 비슷하다면 역이랑 더 가까운 곳
  9. 내 삶의 질과 직결되는 강남 접근성 30분 차이면 학군과 환경+상품성은 가치 결정에 고려 대상이 아니다.
  10. 투자금이 같다면, 익숙한 가격대의 단지를 고르는 것이 아니라 가치가 좋은 것을 골라야 한다. 지금 같은 하락장에서는 천장을 걷어야 한다.


■ 적용할 것

  1. 비교평가 시 가치(강남 접근성&환경&학군)와 가격으로 비교평가 후 나라면 '어디 살고 싶을까?'라는 생각을 해보고 결론내리기. 그런 다음 마지막으로 비교평가 검증(그래프 검증)을 한다.
  2. 감으로 비교평가를 하지 말자
  3. 그래프 검증은 답안지를 보는 것과 비슷하기 때문에 반드시 그 전에 내 생각대로 비교평가해서 결론내리고, 마지막에 내 생각을 그래프로 검증하기
  4. 비교평가 시 상품성(브랜드, 구조, 방 개수, 평형 구성, 단지 내부)도 중요하게 보자
  5. '서울'이라는 말이 붙어 있다고 무조건 좋다는 편견을 갖지 말자
  6. 땅의 가치, 강남 접근성, 환경, 학군. 이 모두가 비슷하다면 단지 임장을 통해 현장에서 느끼고 정보를 습득한 것으로 판단하기

댓글


힘꾸천
24. 04. 05. 02:08

꾸이님 고생하셨습니다!~ 실준도 화이팅!

신콤
24. 04. 05. 06:33

꾸꾸이님!! 고생하셨습니당 ㅎㅎ 청주도 홧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