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너나위의 내집마련 기초반 - 월 300만원 직장인이 서울 내집마련 하는 법
자음과모음, 너나위, 코크드림

책과 유튜브로만 접하던
월부닷컴 강의를 신청하고
어느 새 1주차가 지났습니다.
1강이지만 1달이 지나간 듯
정말 많은 것들을 얻을 수 있었고
알찬 내용들이 많았습니다!
저는 출력된 프린트물보다는
손글씨로 작성한 개인수첩을
다시 확인하기가 편해
직접 필사하며 공부했어요.
1주차 강의 후기는
학습 내용 중 기억에 남는 핵심내용들로
간단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 과거 뉴스를 통해 확인한 전문가의 말도 틀렸다.
아무도 모른다. 내 기준을 가져라.
부동산과 관련된 현명한 의사결정은 1,2년이 아닌
10년 뒤를 보고 해야 한다.
PIR과 전세가율 보기
해당 '물건' 가격이 고점 대비 25%이상 하락했고
내 마음에 든다면 매수해도 좋다.
Q2. 집에서 살 사람이 줄면 필요한 집도 결국 줄어들지 않을까?
=> 주요 지역 인구는 감소 중이었다. 그러나 집값은 상승 중이었다.
인구 감소 속도에 따라 향후 주택 양극화 심화 예측
내 집 마련 예산
예산 = 종잣돈 + 대출가능액 (매매가+세금+각종 비용보다 많거나 같아야 한다.)
1) 매매대금
2) 취등록세 등 세금
3) 중개 수수료
4) 등기비용
5) 인테리어 비용
1),2),3),4) 의 합계는 매매대금의 2~5%
대출
1) 종류: 주택담보대출 / 신용대출
2) 상환방식: 만기일시상환, 원금균등상환, 원리금균등상환
시간이 금이므로 만기일시상환, 원리금균등상환이 유리
3) 금리: 변동금리형, 고정금리형
4) 대출기본지식: LTV(담보인정비율), DTI(총부채 상환비율),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스트레스DSR
5) 주금공정책대출: 디딤돌, 보금자리론, 신생아특례대출
*영끌아닌 안전한 대출가능 금액 간단공식 = 주담대 5% 기준 원리금 상환액 < 저축 가능액의 2/3
후보지역선정
1) 지역 선정
2) 동네와 단지 선정
이번 1주차 강의를 통해 인상 깊었던 점은
같은 수도권이더라도 가치가 다르다는 점과
정책 대출을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었던 것,
체증식이 좋다는 것만 막연하게 알고 있었는데
그 이유를 명쾌하게 이해할 수 있었어요.
그리고 무리하지 않은 선에서
조급하지 않게 내집마련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1주이지만 내집마련을 위한
여정이 좀 더 선명해지고 구체화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