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거인의 어깨에 올라서면 비로서 보이는 것들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더 잘 이해하게 되고 무엇보다 하지 않아도 되는 실패를 피할 수 있다.(통찰력)
직감만으로 타인의 입소문에 의존해 큰 돈과 시간과 열정을 날린 친구들에 대한 애정이다.
# 전략적 사고 # 줄서기 # 장점과 단점
1) 재능과 노력보다 줄서기가 더 중요하다 : 거북이는 육상 시합 대신에 수영 시합을 하자고 해야 한다. 이런 게 전략적 사고다. 너의 장점을 살리고 약점을 보완하여 기회를 잡고, 성공할 수 있는 가장 유리한 곳에 네 자신을 전략적으로 포지션닝 해라.
2) 전략을 형성하는 5가지 경쟁 요소 : 신규 진입 위협, 라이벌 기업 간의 경쟁, 공급자의 교섭력, 구매자의 교섭력, 상품이나 서비스 대체 위협
# 수요 공급 # 가격 # 투자 공부 # 노예의 길
1) 시장경제에 도덕적 잣대를 들이대지 마라 : 시장은 기본적으로 수요 공급으로 작동한다. 거래 상대방이 누구인지 상관없이 오로지 가격만 맞으면 거래가 되는 것이다.
2) 왜 사람들은 노예의 길을 선택하는가 : 인간은 자유를 얻었지만 고독과 불안을 느낀다. 그래서 고독과 불안을 피하기 위해서 인간은 권위에 복종하게 된다. ( 부동산 살지 말지 불안->공부를 안한다->정답을 원한다->스스로 판단 능력이 없다->구루 선택(폭락자)->망했다)
# 임대료 # 통제 # 폭격
임대료 싸다-> 집주인 수익이 적다->집 보수 안한다-> 집을 짓지 않는다->집이 부족하다->집값이 오른다
임대료 싸다->세입자 장기 거주한다->공급이 적다
세입자 : 새 일자리 포기 ->집에서 멀다->싼 월세집->실업률 증가
집주인 : 돈벌 기회 적다->주식 살 돈 없다->경제성장에 필요한 자금줄 막힘
싼집->집주인 방치->슬럼화->폭격
# 인적 자원 #도시의 성공 # 서울
1) 왜 세상은 평평해지지 않는 걸까? : 세계화 적용(제조업, 싼 인건비), 세계화 부적용(IT 기업, 바이오 기업)
2) 혁신 기업을 백업하는 3가지 뭉침의 힘 : 자원보다 아이디어(특허 기술, 인터넷, 바이오 산업, 4차 산업, 첨단 기술) => 풍부한 인재, 지식 전파, 인프라 재생
# 슈퍼 스타 # 서울 # 인재
1) 슈퍼 스타 도시 전성시대, 수혜자는 누구인가? : 기업이 자기의 이익을 찾아서, 인재가 슈퍼 스타 도시로 몰린다(외부 효과)
2) 2000년 이후 슈퍼 스타 도시의 집값이 급등했다.( 뉴욕, 런던, 도쿄, 홍콩, 파리, 싱가포르, LA,서울,빈,,)
# 도시의 승리 # 도시의 성공 # 인재 # 교육 # 안전
1)도시의 진정한 힘은 사람(인재)으로부터 나온다(=도시의 승리). 서울은 한국의 혁신 집합소다.
2) 도시의 성공 요인은 무엇인가? : 즐거운 도시, 음식 문화, 패션 문화, 엔터테인먼트, 짝
3) 도시의 성공 요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인재다 : 인재는 자녀 교육과 안전이다.
# 분업의 힘 # 시대적 흐름 # 서울
1) 답은 분업의 힘에 있다 : 도시가 작을 때는 어느 누구도 한 가지 일에만 몰두 할 수 없다.
2) 수도권 억제 정책의 한계 : 수도권 억제 정책은 나라를 평등하게 만들지는 모르지만 우리나라가 부자 되는 속도는 떨어진다. 서울 집중화와 발전은 피할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다.
# 땅 주인 # 똑똑한 집 # 서울
리카도의 유산 " 차액 지대론 " : 인구가 늘어나는 곳에 비옥한 부동산을 사야 한다. 서울에 똑똑한 집 한 채 가진 사람이 평범한 월급쟁이가 평생 월급 모아서 번 것보다 더 많이 벌 수도 있다.
# 지대 # 결과 # 호황
국부론 : 지대는 그 땅에서 생산되는 상품의 수요와 가격에 따라 결정된다. 즉 땅값은 원인이 아니라 결과다.
지대는 언제 올라가나? 경제 성장이 잘 될 때다. 호황일 때 토지 소유자가 노동자보다 돈을 더 많이 번다.
# GTX요금 # 빨대 효과
도로 교통 효과의 가능성과 한계 (운송 비용)
1) 도로 교통은 두 지역의 차이를 줄인다(동탄, 파주운정)
2) 동탄과 파주 운정 지역 상가는 독점적 지위가 약화된다. (서울은 빨대 효과로 병원, 치과, 백화점이 더욱 더 잘 될 가능성이 높다)
3) GTX요금에 따라 GTX역사 인근의 수도권 집값은 오를 것이고, 서울 GTX역 근처 상가는 더욱 더 잘 될 것이다.
# 대중과 반대 # 알고 집중 투자 # 싸게 산다 # 장기 투자
1) 소수의 투자자 편에 서라 : 일반 대중의 의견과 거꾸로 가는 것, 왜냐하면 모두가 그 투자 대상의 장점에 동의하면 불가피하게도 그 투자 대상은 너무 비싸져 매력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2) 집중 투자하라 : 자기가 잘 알거나 경영 방식을 믿을 수 있는 기업에 큰 돈을 집어 넣는 것.(올바른 투자)
잘 알지도 못하고 특별히 신뢰할 수 도 없는 주식에 분산 투자해서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잘못된 투자)
3) 장기 투자하라 : 인간의 본성 때문에 단기 투자 보다 장기 투자가 유리하다.
4) 신용 투자하지 마라 : 99번을 성공시켰다고 해도 단 1번의 실패로 모든 게 끝장 날 수 있기 때문이다.
5) 하루하루 시장의 변동을 무시하라 : 현명한 투자자라면 자신이 보유한 주식을 공포감에 사로 잡혀서 매도하면 안된다.
6) 주식 가치 측정은 계량적으로 하기 어렵다 : 정밀하게 해서 틀리기 보다는 대충 어림짐작으로 맞히는 게 낫다.
7) 싸게 사라 : 자산 가치와 수익력에 비해서 시장에서 싸게 거래되는 주식
(P. 19) 무작정 노력하기 전에 전략적으로 사고 하는 법을 배워야 인생이 편하다.
(P. 26) 투자를 잘하려면 우선 '자본주의의 게임의 법칙'을 알아야 한다.
(P. 31) 시간이 지나면 부동산 가격은 오르고 빚 가치는 떨어지게 마련이다. 이것이 자본주의 게임의 법칙
(P. 48) 손무 " 먼저 승리한 다음 싸워라" 전쟁을 시작하기 전에 먼저 이길 수 있는 가능성을 따져보란 것이다.
(P. 50) 경쟁이 없을수록 경쟁이 덜 치열할 수록 돈을 더 많이 벌 수 있다.
(P. 64) 자유는 경쟁이 기본이고, 노력이 기본이고, 책임이 기본이다.(성숙함)
(P. 87) 도시의 성공을 위해선 기업을 유치하는 것이 아니라 인재를 끌어오는 것이 맞다.
(P. 91) 인재랑 같이 일하면 다른 사람도 생산성이 높아진다.
(P. 103) 도시 경쟁력이 국가 경쟁력이다. '물려도' 서울에서 '물려야' 시간이 지나면 회복되고 수익을 낼 수 있다.
(P. 109) 고객이 얼마나 만족 했느냐 에 따라서 가격이 결정된다.
(P. 139) 시장 경제 논리는 대중의 직관이나 상식과 다른 경우가 종종 있다.
(P. 146) 나는 워런 버핏을 좋아해서 그의 투자 어록을 읽고 또 읽었다. 거의 다 외우다 싶을 정도로 읽었기에 그의 생각을 잘 안다.
(P. 155) 인간의 본성은 근시안적이다.
(P. 156) 워런 버핏 신용투자를 "칼을 심장을 향해 핸들에 달고 운전하는 것과 같다.
(P. 157) 싸게 산 주식은 언젠가 적정 가격을 찾게 된다.
(P. 161) 언제나 기댓값을 계산하고 이를 근거로 합리적으로 주식 투자해야 한다.
(P. )
(P. )
(P. )
(P.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