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스커뮤니티
오리지널오리지널 정규부동산 기초소액 투자내집마련지역 분석실전 임장임장 보고서
부동산부동산 입문경매/공매청약/재개발세금/대출
재테크/주식주식/코인창업/부업재테크기초자기계발
코칭투자코칭매물코칭
돈 버는 독서 모임돈 버는 독서 모임

뿌링치즈볼

레벨

26
팔로워
111
작성한 글
89
댓글
4
배지
소개작성 및 활동팔로우
작성한 글
111
댓글단 글
79
저장한 글
148
배지
4
정보나눔방
월부Editorcreator badge

한전 에너지캐시백 주택·아파트·원룸 신청법 완벽 정리

폭염이 부르는 전력 수요 전기요금이 부담되는 여름, 에어컨을 마음껏 켜는 것도 눈치가 보입니다. 조금만 덜 써도 요금이 확 줄면 좋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죠.🥺 그런데 실제로, 전기를 절약하면 요금에서 자동으로 깎아주는 제도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바로 ‘한전 에너지 캐시백’. 최근 2년 같은 달보다 전기 사용량을 줄이면, 다음 달 전기요금에서

25.07.14|조회수 276
60
전문가칼럼
|진심을담아서creator badge

지방 소액투자 vs 수도권 외곽 소액투자, 이 글 하나로 정리합니다 [진심을담아서]

안녕하세요, 행복한 노후준비와 내집마련을 돕는 진심을담아서입니다. 비가 추적추적 오면서 날씨가 다소 선선해졌습니다. 주말에 임장하시느라 얼굴이 벌겋게 되신 분들도 많으셨는데, 이번 주말에는 오늘같은 날씨로 안전하고 건강하게 임장하시는 시간 되시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정말 많이 관심 갖고 궁금해하시는 지방 소액투자와 수도권 소액투자 시 의사결정 포인트를 말씀

25.07.15|조회수 1,603
9187
전문가칼럼
|월부Editorcreator badge

“집 나갈 때 에어컨 끄지 마세요!” 오히려 전기요금 더 나갑니다. (에어컨에 대한 의외의 오해 3가지)

폭염이 몰려옵니다. 많이 더우시죠? 그런데 여전히 “가만히 있으면 안 덥다~”하고 에어컨 켜는 걸 꺼리는 분들도 계시죠. “전기 요금 폭탄이 나올까봐” 걱정하시면서 조금만 틀었다가 시원해지면 금새 끄거나 30분, 60분 정도 집을 비울 때면 껐다 켰다 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그런데, 혹시 알고 계셨나요? 집 밖에 나갈 때마다 에어컨을 끄지 않고 켜두는 것

25.07.08|조회수 22,296
5710
정보나눔방
월부Editorcreator badge

전국민 25만원 지원금 지급일, 신청 방법, 사용처, 요일제 신청일까지! 총정리

2025년, 이재명 정부가 전국민 대상 지급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곧 신청을 받습니다. 침체된 내수,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한 정책인데요. 최소 15만원~최대 45만원까지 1차로 받을 수 있고, 2차까지 있어서 10만원이 추가 지급되기 때문에 혜택이 꽤 큰 편입니다. 하지만 이런 좋은 정책에도 주의할 점이 있는데요. 민생지원금, 소비쿠폰 신청을

25.07.07|조회수 18,829
410
정보나눔방
월부Editorcreator badge

외국 다녀왔다면 '이 돈' 꼭 돌려받으세요! (+해외여행 갈 때 의외로 자주 하는 실수 TOP5)

안녕하세요. 당신이 부자가 되는 곳, 월급쟁이부자들입니다. 요즘 여름휴가 시즌이라 해외여행 준비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그런데 이건 모르셨을 수도 있습니다. 비로 출국할 때 ‘돌려받을 돈’이 있다는 사실! 2024년 7월부터 바뀐 출국납부금 환급 제도 덕분인데요. 조건만 맞는다면 간단한 신청만으로 환급금을 받을 수 있답니다. 그리고 이게 끝이 아니에요! 출처

25.07.08|조회수 1,387
121
정보나눔방
월부Editorcreator badge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조회|주유소· 편의점·하나로마트 어디까지 가능할까?

요즘처럼 생활비도 아끼고 현명하게 소비하고 싶은 시기, 온누리상품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요. 전통시장이나 동네 가게에서도 쓸 수 있고, 구매할 때 할인까지 받을 수 있으니 ‘현금보다 좋은 돈’이라는 말이 괜한 게 아니죠. 온누리상품권은 정부가 발행하는 지역경제 활성화 목적의 상품권으로, 할인 구매도 가능하고 사용처도 다양해졌기 때문에, 제대로 알고

25.07.08|조회수 394
61
전문가칼럼
|주우이creator badge

6.27 대책 이후 부동산 시나리오(앞으로의 정책)

안녕하세요. 주우이입니다. 6.27 대책이 나온지 약 10일이 지났는데요. 과연 수도권 부동산시장은 어떻게 흘러가고 있을까요? 뉴스기사를 살펴보면 ‘풍선효과가 있다’, ‘아니다, 안정화 되고 있다’ 등 여러가지 의견이 동시에 나오고 있습니다. 출처: 뉴스1 출처: 뉴스핌 여기서 우리는 실제로 시장은 현재 어떻게 움직이고 있으며 그리고 앞으로 어떤 현상이 발

25.07.09|조회수 4,562
17872
전문가칼럼
|월부Editorcreator badge

“50대 퇴직 후 숨만 쉬어도 100만원 훌쩍..” 늦기 전에 당장 계산해봐야 할 이것

나이 50세, 이월부 씨. 28살에 취직해 20년 넘게 성실히 샐러리맨으로 살았던 그는 명예 퇴직을 권유 받았습니다. 이월부 씨의 생각보다 퇴직은 빨랐습니다. 괜찮아, 앞으로 1년은 더 버티겠지. 아직 아니야. 내년까진 있겠지. …마음 속으로 미루고 미루던 숙제가 벼락처럼 떨어진 것이죠. “내가 얼마나 열심히 몸 바쳤는데…” 란 생각도 들었지만 어쩔 수 없

25.07.09|조회수 1,337
113
전문가칼럼
, |월부Editorcreator badge

“집값 하루만에 2억 뚝↓…” 7월, 다들 무서워하는 이유는 따로 있습니다

부동산 규제 강화 속, 우리는 어떻게 움직여야 할까요? 2025년 하반기, 부동산 시장이 다시 한 번 흔들리고 있습니다. 바로 6.27 초강력 대출 규제가 시행됐기 때문입니다. 전례없는 초강수 대출 규제에, 당장 하루만에 호가가 2억이 뚝 떨어진 곳도, 급매가 쏟아져 나오는 곳도 있었는데요. 출처 : JTBC 뉴스 정부가 발표한 새로운 대출 규제는 그 강도

25.07.04|조회수 7,707
256
전문가칼럼
, |줴러미creator badge

혼란의 수도권 아파트 급등장, 이렇게 준비해서 하반기에 매수하세요

안녕하세요 줴러미입니다 최근 급등한 부동산 시장으로 많은 분들이 허탈해 하십니다 보던 단지의 가격은 오르는데 물건도 없습니다 물건을 보러 갔더니 거둬들이고 그 자리에서 가격을 올리기도 합니다 허탈함에 마음이 더 조급해집니다 제가 처음 투자를 시작했던 지난 수도권 상승장을 떠올려보면 뭐라도 사지 않으면 벼락거지가 된다는 마음에 조급해하고 안절부절 하지 못했던

25.06.26|조회수 1,579
6960
전문가칼럼
|집구해줘월부creator badge

부동산 가서 절대 하지 말아야 할 3가지…모르면 몇천만원 손해 봅니다

안녕하세요 집구해줘월부입니다 🙂 23년 1월 이후 정말 오랜만에 기준금리가 3.5%에서 3.25%로 내렸는데요 많은 분들이 금리가 내리면 대출 금리도 내려가 집값이 오를거라고 예상하신 분들이 많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가계부채의 속도가 빨라지다보니 은행에서 가계대출 규제가 들어가며 다시 또 부동산 시장이 얼어 붙는다는 기사가 보이고 있습니다. 이

24.10.24|조회수 23,263
16864
정보나눔방
월부Editorcreator badge

소유권 이전 등기 법무사 비용, 이거 알면 50만원 아낍니다

부동산을 처음 구매할 때 가장 많이 놀라는 건 집값 외에 드는 '부수적인 비용들'입니다. 취득세, 중개수수료, 인테리어 비용은 예상했지만, '법무사 비용'은 대체 얼마나 나오는 걸까요? 소유권 이전 등기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법무사 수수료, 이 글에서 아주 쉽게 풀어드립니다. 소유권 이전 등기, 왜 법무사가 필요할까? 출처: 연합뉴스 집을 매수하고

25.06.26|조회수 1,145
223
전문가칼럼
|자음과모음creator badge

25년 6월 28일 새로운 대출 규제 시행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자음과모음입니다. 들썩이는 서울 수도권 시장에 정부가 규제 카드를 꺼내들었습니다. 마포나 성동과 같은 지역들이 조정대상지역으로 묶인다는 ‘카더라’가 많았는데 이번에는 ‘가계 대출 총량 규제’를 다시 한 번 더 시행하겠다고 발표를 했습니다. 23년부터 25년까지 서울 수도권 시장의 가계 대출 총량 규제는 처음이 아니긴 합니다. 24년 5월부터 7월

25.06.27|조회수 34,824
708352
전문가칼럼
, |월부Editorcreator badge

"1억 있다면 여기 묻어두세요.” 월 300만원 받는 현실적인 은퇴 포트폴리오

출처 : 시사저널e “은퇴하려면 당연히 30억 이상은 있어야죠.” 라는 생각, 많이 해보셨을 것 같습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월세 내고, 대출 갚고, 생활비 쓰면 남는 게 없는 일상에서 “노후 준비는 하셨나요?”와 같은 질문을 들으면 가슴이 답답해지죠. 하지만 여기, “5억 정도면 파이어가 가능합니다.”라고 말하는 분이 있습니다. 5억을 어떻게 굴리면 파이어

25.06.25|조회수 30,062
447
전문가칼럼
, |프메퍼creator badge

맞벌이 부부로 최단시간 1억 모으기? 돈 모으는 집의 시스템 비밀 (+양식포함) [프메퍼]

안녕하세요 월급쟁이부자들에서 강의와 코칭을 통해 내집마련과 행복한 노후를 돕는 5년차 투자자 Practice Makes Perfect ‘프메퍼’입니다 맞벌이 부부 재테크 시리즈 2탄입니다 지난주 "이것 하나로 앞으로 30년이 결정됩니다 ‘맞벌이 부부가 가장 많이 하는 실수’"에 많은 분들이 "우리 이야기네요" 하며 공감해주셨습니다 이번 주는 “돈을 모으는

25.06.27|조회수 1,708
6854
실전투자경험
흔전만전creator badge

싼지 비싼지 모르겠다면? 앞마당 생활권 비교 1탄 [흔전만전]

안녕하세요, 꾸준함의 대명사 흔전만전입니다. 앞마당에서 A단지와 B단지를 바로 비교하기 어렵나요? 이게 바로 되려면, 앞마당 내 생활권들의 위상이 잡혀있으면 좋습니다. 예를 들면, 길음 구축과 중계 구축 평촌 안양역과 수지 상현 등 비슷한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그룹’을 지어두는 것입니다. 오늘부터 매달 정리를 해보려고 하는데, 일단 가져온 단지는 ‘안양역

25.06.13|조회수 69
60
정보나눔방
월부Editorcreator badge

주택임대차계약 온라인 신고 방법 완벽 가이드 (놓치면 과태료 30만원!)

출처: 한국경제 직장인 A씨는 얼마 전 전세 계약을 갱신했습니다. 바쁜 업무에 치여 한숨 돌릴 틈도 없이, 곧바로 떠오른 건 바로 요즘 떠들썩한 '주택임대차계약 신고'였죠. “귀찮아..시간도 없는데..” 하지만 이제 더 이상 미룰 수 없습니다! 2021년 6월 1일부터 시행된 주택임대차계약 신고제는 그동안 약 4년간의 계도 기간을 거쳐, 2025년 6월 1

25.06.10|조회수 393
143
실전투자경험
실행이답이야

지방 중소도시 2채 → 서울, 수도권 2채로.. 이게 진짜 된다고?

안녕하세요! 월부에서 결과를 만들어 내기 위해 오늘도 실천하는 실행이답이야입니다. 저는 2022년부터 올해까지 매년 등기를 치며 스노우볼을 조금씩 키우고 있습니다. 2022년 지방 중소도시 0호기 매수 2023년 지방 중소도시 1호기 매수 2024년 0호기 매도 후 서울 3급지 매수 2025년 1호기 매도 후 수도권 4급지 매수 이 과정을 거치며 매도해야

25.06.09|조회수 1,585
5590
전문가칼럼
|제주바다creator badge

서울만큼 오를 '2곳', 아직 모르세요?

"서울만큼 많이 오르는데 아무도 안보는 곳이 진짜 있다고요?" <서울 송파구와 접한 경기도 신축 택지, 학교까지 잘 갖춘 지역. 30평대 매매가격 9억대> 안녕하세요, 신도시 투자 기초반 강사 제주바다입니다. 최근에 서울 아파트 가격이 상승했다는 기사가 연일 나오면서 나 혼자 기회를 못 잡고 있다는 생각에 밤잠을 설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이렇게 마음 졸이

24.06.20|조회수 63,412
13075
전문가칼럼
|제주바다creator badge

'수도권 투자 어디를 가야할까?' 이걸로 고민 끝! (+수도권 매매,전세,투자금 엑셀표)

"지금 서울 가야할까요? 경기도 가야 할까요?" "도대체 제가 지금 어디를 가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제주바다입니다. 부동산을 공부하는 분들의 초미의 관심사가 바로 ‘지역’입니다. ‘어디 아파트를 사야하는가', '어디를 임장 가야 하는가’를 정말 궁금해하세요. 처음 부동산에 본격적으로 관심을 갖았던 2014, 2015년도의 저 역시 ‘어디를 가야할까?’가

24.09.21|조회수 19,879
120681
  • 1
  • 2
  • 3
  • 4
  • 5
  • 6
  • 7
  • 8
상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