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스커뮤니티
오리지널오리지널 정규부동산 기초소액 투자내집마련지역 분석실전 임장임장 보고서
부동산부동산 입문경매/공매청약/재개발세금/대출
재테크/주식주식/코인창업/부업재테크기초자기계발
코칭투자코칭매물코칭
돈 버는 독서 모임돈 버는 독서 모임

매너비전

레벨

12
팔로워
211
작성한 글
32
댓글
8
배지
소개작성 및 활동팔로우
작성한 글
211
댓글단 글
27
저장한 글
46
배지
8
전문가칼럼
, |권유디creator badge

2025년 서울 아파트 가격은 어떻게 될까?

안녕하세요. 권유디입니다 :) 2024년이 얼마 남지 않았네요. 캐롤송 몇 번 부르다 보면 어느새 2025년이 다가올 것 같습니다. 설레네요! 2024년 서울 아파트는 상승한 단지와 그렇지 않은 단지가 명확하게 나뉘었고, 지역별로 가격 편차가 심해졌습니다. 가격이 상승하기 전에 매수에 성공한 분들은 기쁨을, 아쉽게 흘려보낸 분들은 허탈함과 같은 감정을 느끼

24.11.27|조회수 3,345
5736
전문가칼럼
월부Editorcreator badge

주린이도 할 수 있어요! "딱 6개월"만에 주식 고수되는 비법

안녕하세요, 당신이 부자가 되는 곳! 월급쟁이부자들의 유용한 정보와 소식을 전달하는 월부에디터 입니다. :) 오늘은 “주식” 이야기를 해보려고 하는데요, 에디터는 주린이 중에 주린이로써… 재미있는 그림을 발견했어요! 이름하야, 주식 Yes or No! 재미로 한 번 해보시겠어요..? 앗 잠깐! 시작하기 전에 1초만 시간 내어 주실래요? 월부Editor 계정

24.11.27|조회수 1,691
1814
전문가칼럼
, |권유디creator badge

부자는 절대 하지 않고, 가난한 사람만 하는 행동 2가지

6년 전 회사 선배로 부터 메시지를 받았습니다. “유디야, 이게 팟캐스트라는 건데 라디오 같은 거야. 되게 재미있어. 너 에어팟 꽂고 돌아다닐 때 노래 듣지 말고 여기 있는 에피소드 하나씩 들어봐. ‘월급쟁이부자들’이라는 팟캐스트야” 이 때부터 저의 인생은 송두리째 변하기 시작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권유디입니다. 부와 가난은 대물림 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24.11.25|조회수 3,477
9369
전문가칼럼
, |월건주creator badge

연봉 1억 K부장, 월세 180만원 벌면 세금은 얼마낼까? (feat.종합소득세)

안녕하세요! 월급쟁이 건물주 월건주입니다. 혹시나 주변 친구나 지인 중에 부동산 투자로 따박따박 월세를 받는 분들이, " 어휴 ~ 그까짓 월세 받아서 세금 내고 나면 남는 것도 없어.! " 라고 ‘배부른 소리’ 들어보신 적 있으세요? 혹시 그런 말 들으면 기분이 어떠세요? 아마도 ‘배부른 소리 하고 있네’ 하며, 부러워 하거나 시기 하지 않으셨나요? 솔직히

24.11.26|조회수 671
1816
전문가칼럼
|자음과모음creator badge

지금 굳이? 돈도 없는데 집을 사야하는 현실적인 이유 3가지

 안녕하세요 자음과모음입니다. 많은 분들을 만나면서 많은 고민을 듣고, 그 고민에 답을 드리며 '집 사는 것'에 많은 분들이 다양한 어려움을 느낀다는 생각을 합니다. 오늘은 그 어려움에 대해서 제가 나름대로 답을 내린 부분들에 대해서 답을 드리고, 그 분들을 도움드리고 싶습니다. 1.첫 번째 어려움 : 지금, 왜, 굳이 집을 사야해? 저는 월급쟁이부자들이

24.11.22|조회수 5,050
8255
전문가칼럼
|시크릿브라더creator badge

인구가 감소해도 지방의 이런 부동산은 오를겁니다.

안녕하세요. 대한민국 1호 초이스 헬퍼 & 부동산 가치평가사 '시크릿브라더'입니다. 오늘은 지난 포스팅에 이은 [인구 감소와 부동산의 상관관계 2탄]입니다. 지난 포스팅 마지막에 이런 질문이 남았었죠. 그래도 기왕이면 지방보다는 서울&수도권을 사는 게 좋지 않을까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지금부터 드려보겠습니다. 1. 무조건 서울&수도권이 정답은 아니다.

24.11.22|조회수 1,359
3617
전문가칼럼
, |제네시스박creator badge

내 집 마련과 투자, 동시에 해결하는 법! (이걸 모르시더라구요...)

내 집 마련을 한다면 가급적 여력이 되는 선에서 ‘좋은 하나’를 권합니다. 굳이 금액을 분산시켜 나눌 필요가 없고, 현행 세법을 고려할 때 주택수를 많이 늘릴 경우 취득세 부담으로 수익률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하나만 가지고 있자니 주변이 올라도 팔 수 없어서 흔히 말하는 ‘본전’이라 고민이 됩니다. 계속해서 투자는 해야 할텐데 좋은 방법, 없을까

24.11.22|조회수 1,294
5328
전문가칼럼
|너나위creator badge

[너나위] 24년 시장 복기, 25년 전망 (줄어든 리스크)

안녕하세요. 너나위입니다. 11월에 왜 이래? 싶을 정도로 덥다가 하루 아침에 추워졌는데 다들 잘 지내고 계신가요? 이제 연말이 되었으니 올 한 해 시장을 복기하고 다가올 새해를 준비해야겠지요. 저는 신이 아니기에 전망 따위는 하지 않습니다만… 여긴 저희 홈그라운드이니 한 번 나름의 시나리오를 그려보겠습니다. 여기서만 보실 수 있는 것이니… 한 번 읽어보시

24.11.21|조회수 32,283
601233
전문가칼럼
|양파링creator badge

5년 뒤에 집값 승자는? 신축이냐 vs 구축이냐

안녕하세요. 양파링 입니다. 2024년도 이제 한달 밖에 안 남았네요. 올 한해를 돌아보면 ‘얼죽신’이라는 단어를 모를 사람이 없을 정도로 어느때 보다 신축아파트에 대한 열망이 강했던 시기였습니다. 사람들의 선호만큼 입주 5년 이내 신축 아파트는 5년 초과 아파트 가격보다 1.31배 서울로 치자면 6억 이상이 가격이 높습니다. 집값 고점기로 꼽히는 2021

24.11.21|조회수 2,318
7243
전문가칼럼
|월부Editorcreator badge

청약 통장 가지고 있다면 이 글을 놓치지 마세요.

안녕하세요. 월급쟁이가 부자가 되는 곳, 월급쟁이부자들입니다. 요즘 청약시장이 많이 뜨겁습니다. 어느정도냐면 서울 1순위 평균 청약 경쟁률이 21년 이후 3년만에 세 자릿수를 회복하여 140대 1이 되었습니다. 참고로 서울 평균 경쟁률은 21년 164:1, 22년 10.25:1, 23년 56.93:1 이었습니다. 얼죽신이라는 말처럼 신축 아파트에 대한 선호

24.10.28|조회수 3,622
5235
추천도서후기
빛나이루다

빛나이루다 돈독모 독서후기 <세이노의 가르침>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세이노의 가르침/ 세이노 지음 저자 및 출판사 : 세이노 / 데이원 읽은 날짜 : 2005.4.1~ 4.10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나는 내 삶의 주인이다. #돈 #삶의 지혜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10점 1. 저자 및 도서 소개 : 저자 세이노. 그의 경험과 통찰을 마탕으로 인생

25.04.11|조회수 21
12
아파트분석
매너비전

동탄역 시범 한화 꿈에 그린 프레스티지 아파트 수익률 분석 보고서 [열반스쿨 기초반 82기 8조 매너비전]

동탄역 시범 한화 꿈에 그린 프레스티지 아파트 수익률 분석 보고서 [열반스쿨 기초반 82기 8조 매너비전] ✅동탄역 시범 한화 꿈에 그린 프레스티지 아파트 ✅위치(지도) ✅입지평가 1. 직장 : S 2. 교통 : B 3.학군 : A 4. 환경 : A 롯데 백화점, 트레이더스 5. 공급 : C 화성시 인구 : 96만 5,040명 X 0.5% =4,825세대

24.12.17|조회수 68
12
수강후기
매너비전

재테크 기초반 3주차 수강후기

부동산에 대해 접근 방식을 새롭게 알게 되고 지금까지 살면서 혼자만의 생각으로 부동산을 크게 생각 안하고 살다보니 내집 마련하는것이 막연히 나중에 언젠가 해야지 생각만 간간히 하면서 그냥 시간만 보냈던 세월이 아쉬울 따름입니다. 지나간 시간은 과거일뿐 현재를 파악하고 재 정비 하며 미래 준비를 위해 가장 늦었을 때가 가장 빠르다고 생각하며 이번 기회로 거침

24.11.27|조회수 13
02
1억달성기
원어비

특별할 것 없는 평범한 직장인의 1억 모으기 (ft. 주변에 흔들리지 않고 꾸준하게 저축)

안녕하세요:) 원어비 입니다. 사실 1억을 모은 건 좀 오래되었지만 복기 겸 글을 써봅니다. 대학 생활 부모님께서 감사하게도 대학때까지 용돈을 지원해주셨습니다. 하지만 대학 때 해보고 싶은 게 많았기 때문에 아르바이트를 했습니다. 아르바이트로는 과외, 이자카야(야간), 스키장 등을 했습니다. 시급이 높은 편인 알바였으나 모은 돈으로는 쇼핑하고 해외 여행을

24.12.18|조회수 1,056
1414
  • 1
  • 2
상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