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지 않는 투자
잃지 않는 투자 더 벌지 못해도 덜 위험한 것에 투자해서 목표를 이룰 때까지 투자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선택을 하는 투자. 부자는 상승장에서 나온다. 상승 장이 오기 전까지 자산을 꾸준히 모으는 사람이 기회를 만난다. 현재 시장의 상황, 현재 나의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시나리오 대로 대응한다. 내가 가진 투자금에 맞는 임장지를 선택하고 매달 임장보고서
[실준 68기 벗꽃지기전 등기치리(72)조_로소로소 “입지를 먼저 보고, 단지는 그 다음에 본다.”
강의를 들으며 제가 특히 크게 깨달았던 점은, 단지 디테일보다 지역 선호도가 우선이라는 것입니다. 과거에 부천과 노원 지역의 단지 임장을 하면서, 저는 특유의 90년대 1기 신도시 구축 아파트들을 보고 단지 내부의 디테일에만 집중했습니다. 차단기 설치 여부, 도색 상태, 보도블럭 정비, 주차 혼잡도, 아파트 외관 관리 상태 등… 하나하나를 꼼꼼히 살피며 분
[실준 68기 벗꽃지기전 등기치리(72)조_로소로소 “투자는 숫자만이 아니라, 결국 사람을 읽는 일이다.”
"투자는 숫자만이 아니라, 결국 사람을 읽는 일이다.” 이번 월급쟁이 부자들 실전기초반 강의는 단순한 부동산 이론 수업이 아니라, 현장감 있는 실전 노하우를 다루는 강의였습니다. 특히 임장보고서를 작성하는 법부터 시작해서, 분위기 임장 – 단지 임장 – 시세 따기까지, 실제로 투자자가 현장에서 어떤 눈으로 보고 판단해야 하는지에 대해 디테일하게 설명해 준
[실준 68기 벗꽃지기전 등기치리(72)조_로소로소 잃지 않는 투자에 대해서
📚 부동산 ‘잃지 않는 투자’ 강의 수강 후기 이번 강의를 통해 저는 그동안 막연하게만 생각했던 ‘부동산 투자’에 대해 훨씬 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시야를 갖게 되었습니다. 가장 인상 깊었던 메시지는 많이 벌지 못하더라도 망하지 않는 선택을 하라”는 말이었습니다. 부동산 투자는 단순히 오르는 지역을 찍어내는 것이 아니라, 내 상황에 맞는 솔루션과 방향을
기준을 세우고 가치를 비교하자.
최근 들은 3주차 강의를 통해 서울 구축 아파트와 경기 신축, 경기 구축뿐 아니라 경기 외곽과 광역시의 부동산 시장 흐름까지 폭넓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그동안 서울과 경기를 비교하며 어떤 기준으로 접근해야 할지 고민이 많았는데, 이번 강의를 통해 명확한 분석 틀과 방향성을 잡을 수 있었습니다.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비교 평가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설
[서투기 21기 3주택은 기본으로 사9싶조_로소로소] 약점이 있는 단지에 기회가 있다.
1.투자자는 다른 시각으로 부동산을 바라봐야한다. 2주차 강의에서는 서울과 수도권에서 소액으로 투자 기회를 잡는 방법에 대해 배웠습니다. 예시 지역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셔서 현실감 있게 다가왔어요. 투자자로서 내 집 마련과는 다른 시각으로 부동산을 바라봐야 한다는 점이 새롭게 와닿았습니다. 강의에서 서울에 위치한 물건이라면 다소 부족해 보여도 가치가
[서기19기 부동산투자로 8자 고쳐야지 1어나 고고! 로소로소] 1주차 강의후기
서울투자기초반에서 투자금에 맞는 방향을 선택하고 가치성장투자와 소액투자 각각에 대한 전략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가치성장투자를 하고싶지만 종잣돈이 부족하기 때문에 소액투자도 함께 병행해서 서울 수도권에 대대손손 물려줄 수 있는 자산들을 모아야 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얼마를 깍아사 샀냐가 아니라 5년뒤 10년뒤 지금 같은 부동산 시장에서 투자를
내마중 13기 32조 로소로소의 최고의 내집마련 프로젝트 3주차
성북구 길음동 매울임장 후기 1. 매물 임장 후 느낀 점 매물 임장 후 단지의 언덕과 역세권에 따라 가치가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있었고 매물 3군데 모두 학년기 자녀를 키우는 사람들이 사는 매물이 였다. 동네에 학교를 보내기 좋아 보였다. 매물의 가격은 네이버 보다 비싼 가격에 나와 있었지만 추분히 깍을 수 있을 것같았다. 매물 중에서 수리가 엄청 많이 되
내마중 13기 32조 로소로소 3주차 강의 후기
느낀점 서울에 투자 할 수있는 물건이 많이 있고 쉽게 오지 않는 기회의 시기 이다. Q&A 강의에서 다양한 케이스의 질문을 통해서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서 생각의 확장에 도움이 되었다. 연령별, 소득별, 자산별 각자 상황에 맞게 현재의 기회를 잡으려고 하는 사람들의 고민이 공감이 잘되는 부분도 있었고 공감이 잘되지 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