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호상이 입니다.
엑셀시세표를 하다보니 궁금한게 있습니다,
대부분 강의에서는 전세가를 = 호가 최저가를 쓰라고 말씀하셨는데
호가 최저가를 쓰는 이유는 저도 보수적인 전세가격을 설정하기 위해서라고 알고 있는데
혹시 이걸 전세가를 최저나 나갈것 같은 실거래가를 쓰지 않는 이유가 있나요?
단지분석이랑 가격분석을 하다보면 전세 최저가 호가가 높은데;;
실거래가 전세는 터무니 없이 낮아서
이거 뭥미? 하는데 물론 이런경우는
최저 전세호가가 이게 거래되면 전세가가 올라가는것이겠지요? ㅎㅎ
이럴경우 엑셀시세표에 그냥 실거래가 최저가를 적는게 나은지
강의에서 말씀하신 네이버 호가 최저가를 적는게 나은건지
왜 전세가에서 실거래 최저가를 적지 않는건지 궁금해서요~~
혹시 여러가지 의견 주시면 ㅎㅎ 저도 공부하겠습니다
미리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
월부 앱을 설치하면 남겨주신 질문에 답변이 달리면 알림🔔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앱 추가 방법 : 공지사항 > 신규멤버필독 게시판을 참고하세요!
댓글
안녕하세요 호상이님, 시세를 조사하고 계시는 군요~ 말씀하신 것처럼 전세 실거래가와 호가의 가격 차이가 큰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호가가 실거래가보다 더 높은 경우도, 더 늦은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보수적으로 둘 중 더 낮은 가격으로 보기도 하는데요. 해당 지역에 전세 매물이 없는 경우에는 호가가 다소 높더라도 전세집이 반드시 필요한 분은 높은 호가에도 입주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높은 가격에 거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거래가, 단지 호가뿐 아니라 주변 단지들의 전세 매물수와 가격까지 고려해서 부동산에 확인해보시면 좋습니다~ 호상이님 화이팅입니다!!
호상이님 안녕하세요 :) 전세가를 정확히 넣어야 하는 이유는 우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투자금을 가늠할 수 있게 하고, 단지의 선호도와 시장 분위기를 읽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생각했을 때, 강의를 통해 초급자분들께도 분명한 기준을 잡아드리기 위해서는 최저 전세가라는 기준으로 말씀드릴 수 있는데요. 호상이님께서 생각하시기에 '진짜 나갈 전세가'라고 판단된다면 그 가격을 입력하시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 실거래가와 부동산을 통해 파악한 가격을 입력하셔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호상이님 안녕하세요 ^^ 지역의 전반적인 시세를 파악하거나 시세트래킹을 할 때에는 최저 가격보다 하나 위 가격으로 전세 가격을 따면 됩니다. 하지만 투자 대상을 정해서 진짜 투자를 한다고 했을 때에는 좀 더 디테일하게 .. 호가 뿐만 아니라 실거래, 부동산 사장님이 말하는 가격까지 다양하게 확인하고 투자금을 예상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화이팅입니다 호상이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