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
한달동안 혼자 외롭게 임장다니다 조원들이 생겨서 기쁜 은하2입니다.
1주차는 제주바다님의 광역시 투자와 A지역 입지와 투자에 대해 들었습니다.
< 1강 본깨적 >
본 : 지방 투자의 고민 Top 3 (인구, 매도, 효율성)
깨 : 광역시와 중소도시의 투자범위가 다르다. 환금성은 월부가 제시하는 기준대로만 해면 괜찮다ㅎ
적 : 지방은 ㅇㅇ이지~ 하는 인식을 깨고, 이번 임장지에서는 ㄱㅊ도 유심히 보자.
< 2강 본깨적 >
본 : 지방투자의 핵심 3요소
깨 : 3요소가 투자자에게 의미하는 것
적 : "무조건 중소도시보단 광역시지!" 가 아님, 3요소를 모두 고려했을 때 무엇이 저평가인지가 핵심
❗부동산 공부하며 재밌는 점. 결국 부동산은 사람, 수요, 공급으로 모두 설명할 수 있다. 바글바글(?)할 수록 상승여력이 높고, 상품성보다 ㅇㅂ가 중요하다
< 3~4강 본깨적 >
본 : 정량적 입지 지표
깨 : 각 지표가 의미하는 바를 알아야한다. 복붙이 중요한게 아님
적 : 소득구간 분석 바다님처럼 하기, 지표들를 시 -> 구 -> 동 순서대로 분석하기
(A지역의 O구도 무지하지 말라! 같은 가격이라도 저평가 되어있다면 ㄱ!)
< 4강, 이 강의에서 가장 남기고 싶은 원씽 >
공급이 우리에게 기회를 주는 방법...
이런게 실전투자 경험이 아닐까? 싶음
이 부분은 10번 더 돌려볼 예정😘
< 5~7강 본깨적 >
본 : A지역의 입지 및 가격 분석
깨 : 같은 신도시(생활권)이더라도, 같은 상품성이라도, 단지마다 가치가 다름. 입지와 연식 둘 잘 고려해야 봐야함.
(그동안 나의 앞마당과 A지역은 단지 분석 기준이 좀 달라서 어렵다.)
적 : 단지분석 하나하나 성의 있게 하자. 같은 생활권이라고 뭉개지 말고 다 하자.
< 8강 본깨적 >
본 : 지방 부동산 사이클
깨 : 타이밍을 잡으려고 하다보면 경쟁자가 너무 많을 수 있음 + 최근 ㅇㅇ지역 시세트래킹하면서 고민했던 것과 일치(투자자 많이 들어왔던데 전세 잘 빠질까?😂) 하지만 큰 대세가 어떻게 흘러가는지를 파악해야함
적 : 가치와 사이클을 알고 버티는 마인드 세팅
(광역시와 중소도시는 보유 예상 시기가 다름)
< 인상깊었던 것 >
단지분석에서 전저점 체크
시세트래킹 열심히! (당장 하러 가자)
다신 저층 유심히 보지 말자..^_^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