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기 19기 3년 이내에 1억 버는 단지 찾조 복실아] 1주차 강의 후기 제주바다님~♡

  • 24.05.13


안녕하세요! 복실아입니다!

1강 제주바다님의 강의는 제가 궁금했던 디테일까지 짚어주는 강의였습니다.

이만 후기를 적겠습니다.


본것



공급에 따라 뇌피셜로 예측하기 보다는 단지를 가져와서 직접 비교해 보는 게 확실한 방법이다.


만약 공급이 많다면 한없이 내려간다고 생각했었는데, 한없이 내려가는 게 아니라 마지노선이 있다.


광역시는 수요가 많아서 상단이 높다. 주변 중소도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광역시는 주변의 인구까지 흡수하기 때문에 다른 중소도시보다 너 폭넓게 단지선정을 할 수 있다.


입주장이 있다면 바로 그 해에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전부터 움직일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인접해서 투자하는 것보다는 미리 투자하는 게 마음고생을 덜 할 수 있는 방법.


지방에 가면 사람들이 없는 시간대에 백화점이나 마트를 가며 둘러봐야 한다

지역의 위상을 알기위해 대표 산업단지는 택시를 타고서라도 봐야한다


중소도시에선 학원가의 구축보다 입지떨어지는 신축의 선호도가 더 높다고 배웠으나, 광역시엔 수요층이 풍부하기 때문에 입지가 떨어지는 곳까지 볼수있다.


공급이 줄어들어 투자기준에 들어오면 투자자들이 몰려올 수 있다.


부동산의 사이클을 알아야 한다 .= 역사공부


깨달은 것.


투자하기 좋은 시기엔 투자자들이 몰려서 경쟁 물건이 많이 생겨서 원하는 전세가에 맞추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을 깨달았습니다.


전세가가 받쳐주는 시기엔 경쟁자들이 많기 때문에 투자하기 어렵고, 매매가가 오르기 때문에 중간에 파토나는 경우도 있어서 그렇게 어려운 시기에 투자하는 것보다 미리 투자하는 게 좋을 수 있습니다.

생각처럼 전세가 오르는 시기에 투자는 쉽지 않습니다.


광역시는 중소도시와 다르게 수요층이 더 많기 때문에 구축까지도 투자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광역시는 입지라는 것이 있기 때문에 구축도 볼 수 있지만 가치대비 잘 비교해봐야 합니다. 같은 생활권이더라도 학교에 따라 1억씩 차이나기도 하기 때문에 가치를 잘 봐야하고, 저평가라고 생각했던 부분이 저평가가 아닐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사람들의 수요가 몰리는 곳 뿐 아니라 입지가 낮은 곳들도 광역시에는 유의미하다고 하셨습니다. 지방에선 무조건 신축이라 생각했지만 중소도시와 차이점을 보이는 부분이었습니다.


공급과 사이클이 한몸이 되어 움직인다고 생각했는데 공급에 따라 미리 움직이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투자하는 시기를 공급에 따라 맞추기는 어렵습니다. 그래서 계속 시세트레킹을 하며 투자기준에 들어오는지 봐야하는 부분입니다.

지금은 전세가가 받쳐주지 않아 투자가 어렵다고 하더라도 가능한 시기가 오니 한달에 한번 꼭 시세트레킹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지방에 가서 사람들이 없으면 시간대가 이러니 없지.' 하며 백화점만 들렀었는데, 사람들이 있는 마트에 가서 확인해야 하는 부분도 깨닫게 되었습니다. 가끔 보이는 몇몇사람들로 유추하는 것 보다 더 좋은 방법이 있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지역의 대표 산업단지를 일부러 보고 온적은 없이 우연히 보는게 다였는데, 루트가 아니라면 보지 못한 적도 있습니다. 대표 산업단지를 택시타고서라도 보고와야 그 지역의 소득수준이라든지 기업의 원천징수영수증이 뇌리에 박힐 수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무조건 사람들과 아파트 상권만 보는 것이 아닌 그지역의 소득수준, 위상도 함께 보는 투자자가 되어야 겠습니다.


부동산의 사이클은 역사공부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부분이 와닿았습니다. 역사는 반복된다. 싸이클은 반복된다.

역사를 알아야 내가 자산을 사고서 지킬 수 있는 부분이다. 가격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사이클을 알아야 힘든 순간 오르지 않는 순간에도 버틸 수 있는 부분입니다.

한동안 전고점에만 매몰되어 수익률을 생각한 부분이 있었는데, 전고점은 알수없는 부분이라서 그 과정또한 예측할 수 없기에 자산을 잘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그건 이미 물건을 사기 시작한 순간부터 알아야 대비할 수 있는 부분이라는 것을 알수 있었습니다.


4층의 언급도 해주셨습니다. 정말 궁금했던 부분이었는데 , 4층도 투자할 수 있지만 가격을 잘 생각해야 한다는 부분이었습니다.


멘토님의 아쉬웠던 투자사례를 예시로 들어 알려주었기 때문에 더 감정이입이 되어 듣게 되었습니다.


투자자들이 몰리는 생활권보다 투자자들이 몰리지 않는 생활권에서 자산을 사는게 더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는 점도 배웠습니다.

저는 반대로 제가 산 물건이 최근 투자자들이 산 물건이라고 하면 뭔가 안심되는 부분이 있었는데,

역시 투자는 남이 보지 못한 부분을 봐야하는구나 . 남들이 가지 않는 곳에서 협상하는 게 좋은 대안일 수 있고, 오히려 더 큰 수익률을 줄 수 있겠구나 .

이부분은 마카엘라아 조장님의 말씀이 떠오르는 순간이기도 했습니다.


적용할 점


  1. 광역시는 광역시 외에 주변에서 수요를 끌어오는 지역이기 때문에 구축까지도 볼 수 있고 그래서 더 입지를 중요시하여 봐야한다.
  2. 임장하며 산업단지도 택시를 타고 잠깐이라도 보고 와야 한다.
  3. 공급이 줄어들고 전세가가 오르는 시기가 적합하다 생각할 수 있지만 나와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많으니, 미리 투자하는 것이 더 수월하다.
  4. 대부분의 사람들이 투자로 보는 단지보다 생활권이 더 떨어지거나 투자금이 더 들더라도 사람들이 많이 보지 않는 단지가 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5. 비슷한 가격이면 더 많은 투자금이 들어가는 물건이 고점에서는 큰 격차를 불러오기 때문에 투자금이 많이 들더라도 더 좋은 물건을 택해야 한다.









댓글


사자머리짱
24. 05. 15. 00:17

우와~ 복실아님! 강의후기는 다시 한번 복습할 수 있는데요. 본.깨.적에 맞춰 너무 잘 정리 된 후기 잘 보고 갑니다. 1주차 수고하셨습니다.

미카엘라아
24. 05. 15. 00:51

복실아님 생각과 진심이 담긴 후기 나눠주셔서 너무 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