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원겸입니다.
오랜만에 재수강하는 지방투자 기초반!
역시나 항상 새로운 내용이 들리고
기억에 남는 부분도 많은 강의였습니다.
작년과 조금 다른 점이 있다면,
강의에서 언급하는 지역이나 단지들 중에
직접 임장으로 알아 놓았던 단지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그러다보니 대부분의 내용이 공감도 많이 되었고,
간혹 나와 다른 관점으로 해석하시는 부분에 놀라기도 했습니다.
강의를 들으며 가장 기억에 남는 내용 정리해보겠습니다.
인구 중요하지만 절대적으로 의존해서는 안된다.
지방에서 인구가 매우 중요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인구는 수요랑 직결되고, 얼마나 많은 수요가 있느냐는 가격에 바로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보다 우선되어야 하는게
가치와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광역시와 중소도시의
비슷한 가격대 아파트를 비교할 때,
단순히 이왕이면 인구가 많은 지역이 좋지 않을까
라는 방식으로 선택을 해서는 안됩니다.
해당 지역과 생활권에서 단지의 위상을 잘 파악해서
선호도를 알고 결정을 지어야 되겠습니다.
공급이 예정된 지역. 투자로 괜찮을까?
지방에서 공급은 전세나 매매에 바로 영향을 주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공급이 많이 예정되어 있기 때문에
투자를 하면 안되는 시기라고 생각한다면
많은 기회를 놓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실제로 공급이 많았던 과거의 사례들과
실제 단지의 가격을 펼쳐놓고 보면서
팩트체크도 해보고,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도 느껴보면서
충분히 싸고 좋은 조건이라면 투자를 해도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습니다.
특히 대량 입주 어느정도 전부터
가격에 영향을 주는지 경험상 알려주신 내용도
비교해보니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상급지와 하급지 비교는 어떻게 해야할까?
앞서 첫번째에서도 언급한 것 처럼
지방에서 인구가 많은 지역이라는 이유로 무조건
비교평가에서 우위가 있는게 아니듯이.
같은 지역내에서 상급지와 하급지를 비교할때도
단순히 상급지에 있는 단지라고 다 좋은 것은 아닙니다.
하위 생활권이라도
거주민들의 커뮤니티가 충분히 형성되어있다던지
선호도가 명확히 있다면
오히려 상위 생활권의 애매한 단지보다
나은 선택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좋은 강의 해주신 제주바다님 감사합니다.
댓글
조장님의 후기를 읽으니 조모임에서 나눴던 공급이 많은 시기 투자를 어떻게 나눠야 되는지 조장님의 생각을 다시 볼 수 있어 좋고, 상급지와 하급지 투자관점에서 하급지더라도 그 생활권에서의 선호도로 투자를 어떻게 접근해야되는지 다시 생각해 보게 되네요 ㅎㅎ 좋은 강의에는 제주바다님이 행복한 조모임에는 조장님이 있어 왕 든!든!든!합니다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