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저번 지기때 처음 뵌 권유디님을 또 보니 반가웠고 기대가 되는 강의였습니다。
다시금 저의 중심을 잡아주셔서 감사합니다。
강하게 의견을 말해주는 분이 있으시길 바랐는데 (혼자판단하기 어려워서、、ㅎㅎ)
강하게 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BM할점
1)~좋다 ~ 좋다 ~~~。。。 그래서 사람들이 오는거야¿ 수요가 있어¿ = 모든 것은 수요관점으로 해석。
2)임보 중 그렇구나의 정도의 개념 나는 발표하는 자료가 필요한게 아니다。
나 자신을 설득시키고 내가 이 지역을 안다는 것을 목표로 임보를 쓰는 것이다。 이쁜거 필요없음。
3)구축은 보수적으로 본다 。 확실한 수요+선호생활권 탑2이내+전고점 4억이상만
4)내 자금 내에 아파트만 단임해라(공부가 아닌 투자를 해라)
나의 자금 1억 、 매매가 80‰ 기준 5억 이하 단지만 추리기。
5)시세트레킹 방법
-1) 생활권/연식별 랜드마크 아파트 추출
전용 84 기준 、 20년1월~현재 (전고점 높은 순을 추리기 위함)
-2) 달에 한번 랜드마크 84기준 ‘매매가’ 트래킹
모든 층 포함 、 네이버 부동산 뜨는 금액 기입 (쿨함、、 멋짐、、、、)
-3) 저평가 생활권 파악 후 매/전 전수조사
전용 59/84 모두 、 1、2、3、탑층 제외
-4)투자 가치 가장 좋은지 비교평가
입지 별 같은 평형 비교 / 상위입지와 하위입지 경우 59VS84 비교 평균 매매가 비교
평소 A가 B 보다 높았는데 비슷하거나 낮거나 하면 A는 저평가구간으로 해석 가능함。
기존의 나의 경우 내가 뽑은 단지의 매/전가를 한달 주기로 매/전 갯수 까지 비교하였고
1、2、3、탑층은 걸렀기에 하나하나 찾아보느라 시간이 걸렸지만 이 방법은 굉장히 효율적인것 같다。
또한 내가 뽑은 단지의 경우 임장 후 관심지역 및 금액에 들어올 법한 단지들을 추렸다면
기준 자체가 전고점 순으로 나열하여 확실한 랜드마크를 기준으로 시장을 한번 전체적으로 본뒤
저평가 구를 따로 전수조사한다는 점이 매우 디테일하고 효율적이라 생각한다。
역시 거인의 어깨 작전은 좋다。。。¡¡
D지역특징
1)돈이 줄줄흐른다。=> 환경을 개선시킬 힘이 크다(교통/학군/택지)
2)산업 단지가 몰려있지 않다 => 수요자 입장에서의 이동이 편하다
3)입지 요소 중 학군이 가장 중요하다。
댓글
우먼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