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부산을 앞마당으로 만들기 전이라면 반드시 반드시 반드시 듣고 가야 할 강의
게리롱님께서 강의 초반에 A지역은 누구나 좋은 곳으로 알고 있지만 선뜻 갈 엄두가 나지 않는 지역이라는
말씀이 너무 와 닿았습니다.
저 또한 월부에서 투자 생활을 한지 1년이 되었고, 지방투자를 목적으로 열심히 앞마당을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A지역은 물리적으로 멀고, 가장 큰 지방 도시이다 보니 그동안 발걸음을 미루어왔습니다..
그렇게 미루다 이번 지기 강의를 재수강 하는 기념으로 '이젠 정말 가야 할 때다. 가자!' 는
마음으로 ㄷㄹ구를 임장 했습니다.
지방에 앞마당이 꽤 있음에도 불구하고 A지역은 달랐습니다..
솔직히 너무 어려웠습니다.
난개발로 인해서 분위기 임장 지도를 그리는 것 조차 어려울 정도였습니다.
열심히 분임과 단임 그리고 매임까지 하면서 A지역에 대해 알아가던 중
4강 게리롱 튜터님의 강의를 통해 제가 이번 한 달 임장을 하며 가지고 있던 궁금증과
의문이 완벽하게 해소되었습니다.
#서울과 지방광역시 그 사이 어딘가..
A지역은 지방에서 압도적으로 인구가 많은 곳
게리롱님께서 강의 초반에 A지역은 누구나 좋은 곳으로 알고 있지만 선뜻 갈 엄두가 나지 않는 지역이라는
말씀이 너무 와 닿았습니다.
저 또한 월부에서 투자 생활을 한지 1년이 되었고, 지방투자를 목적으로 열심히 앞마당을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A지역은 물리적으로 멀고, 가장 큰 지방 도시이다 보니 그동안 발걸음을 미루어왔습니다..
그렇게 미루다 이번 지기 강의를 재수강 하는 기념으로 '이젠 정말 가야 할 때다. 가자!' 는
마음으로 ㄷㄹ구를 임장 했습니다.
지방에 앞마당이 꽤 있음에도 불구하고 A지역은 달랐습니다..
솔직히 너무 어려웠습니다.
난개발로 인해서 분위기 임장 지도를 그리는 것 조차 어려울 정도였습니다.
열심히 분임과 단임 그리고 매임까지 하면서 A지역에 대해 알아가던 중
4강 게리롱 튜터님의 강의를 통해 제가 이번 한 달 임장을 하며 가지고 있던 궁금증과
의문이 완벽하게 해소되었습니다.
#서울과 지방광역시 그 사이 어딘가..
A지역은 지방에서 압도적으로 인구가 많은 곳 제 2의 수도라 불릴 만큼 많은 사람들이 있고,
그만큼 수요도 더 풍부하다. 그래서 다른 지역보다 입지 가치가 더 있는 지역이다.
인구가 많은 지역일수록 선호하는 곳들의 가격은 비선호 하는 곳들과 큰 가격 격차를 나타낸다.
즉, 상승기에 폭발적인 가격 상승력을 나타내는 곳이다.
또한 서울이 아닌 지방 광역시이므로 지방의 특성 또한 가지고 있다.
이 지역만의 고유한 선호 요인을 잘 찾아내야 한다.
#A지역 사람들이 좋아하는 곳은 어디며? 왜 좋아 하는 것일까?
(A지역의 지리학적 특성과 지역의 발달 과정을 잘 보는 것이 중요하다.
A지역은 굉장히 넓다. 즉 같은 지역이라도 인구 교류가 잘 이뤄지지 않는 지역이라는 특성을 기억하자.)
A지역에서 구매력이 있는 사람들은 어디에 살까?
질 좋은 직장이 있는 지역을 파악하고, 그 곳과 가까운 생활권에 사람들이 살고 싶어 할 것이다.
또한 돈을 잘 버는 사람들일 수록 학구열 또한 높을 것이며, 소비 또한 많이 할 것이다.
즉 입지 요소들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지역부터 높은 선호도를 나타낸다.
추가적으로 해당 지역이 입지 가치가 높은 곳인지 낮은 곳인지 단순하게 확인할 수 는 방법은
해당 생활권의 구축 가격과 신축 가격을 비교해서 구축이 신축 못지 않는 가격을 형성한다면
그 지역은 입지 가치가 높은 곳으로 볼 수 있다.
#절대적인 절대 평가 이외에 중요한 것들..
A지역은 우리가 흔히 중요하게 여기는 교통의 의미를 판단하기 어려운 지역이다.
어떤 노선이 지나가는지도 중요하지만 교통 보다 입지의 조건이 더 중요하다.
같은 입지라면 당연히 역세권이 플러스 요인이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사람들이 더 선호하는 요소를
파악해서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ㅇㄹㅁ이 굉장히 심하다.
사람들이 어느 정도 언덕에 대해서 OK하는 부분이 있지만 그만큼 귀한 ㅍㅈ에 대한 프리미엄이 존재한다.
즉, 같이 입지에서 더 살기 좋은 환경의 한가지 요소라고 볼 수 있다.
#기회가 오고 있다.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쏟아지던 공급이 줄어 들고 있다.
물론 좋은 생활권에 공급이 남았지만, 구별로 다르게 기회를 줄 것이므로 지역이 아닌 구별로
타이트하게 트래킹 하자. 그리고 이후 공급물량과 재개발 (ㄱㄹㅊㅂ 이후), 이외 촉진구역 및 신도시
관련된 사항도 잘 살펴보자.
#꿈을 항해 가는 과정 또한 꿈이다.
가장 기억에 남는 말씀이다.
누구에게나 꿈이라는 목표는 있다.
우리는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하루 하루 살고 있고 그 하루가 모여
목표를 이룬다면 우리의 하루 또한 꿈의 일부분이 아닐까,
3년이라는 시간 정말 우리의 꿈을 위해 몰입하다 보면 의심이 확신이 되고 확신이 자신감이 되는
그 시기가 반드시 올 것이라고 믿는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