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EBS 다큐프라임 + EBS<자본주의> 제작팀. 정지은. 고희정 지음
저자 및 출판사 : 가나
읽은 날짜 : 6/1~6/9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인플레이션 #소비마케팅 #복지자본주의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10점
1. 저자 및 도서 소개
1)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EBS 다큐프라임 + EBS<자본주의> 제작팀. 정지은. 고희정 지음
2) 저자 및 출판사 :
정지은 프로듀서 -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1992년 EBS에 입사했다. 2008년 방송되자마자 부모와 교사, 교육 전문가들로부터 격찬을 받았던 EBS 다큐프라임 <아이의 사생활>로 한국PD대상, 방송통신위원회 방송 대상 등 그해 많은 상을 수상했다. 이듬해인 2009년 출간한 [아이의 사생활]은 자녀교육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출간 즉시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같은 해 주요 대형서점과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자녀교육 분야 '최고의 책'으로 선정되었다. 또한 2012년에 방송된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로 한국방송대상 수상, 국무총리 표창 등 10개의 상을 수상했다.
고희정 작가 -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과학교육을 전공하고 석사학위를 받았다. 중, 고등학교와 대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쳤다. <딩동댕 유치원>, <방귀대장 뿡뿡이>, <생방송 톡톡 보니하니>, <뽀뽀뽀>, <꼬마 요리사>, <만들어 볼까요?>, <과학놀이터>, <토끼가 까꿍>,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EBS <부모> 등의 방송프로그램을 썼다. 우리 아이들에게 어떤 세상, 어떤 삶을 물려줄 것인가를 깊이 고민하며 [자본주의]를 썼으며,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과 함께 공감하고 소통하는 글을 쓰고자 한다.
2. 내용 및 줄거리
PART1. '빚이 있어야 돌아가는 사회, 자본주의의 비밀'
1) 물가는 절대 내려가지 않는다.
2) 은행에 있지도 않은 돈을 만들어낸다.
3)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예금을 찾지는 않는다.
4) 중앙은행은 끊임없이 돈을 찍어낼 수밖에 없다.
5) 인플레이션의 거품이 꺼지면 금융위기가 온다
6) 내가 대출이자를 갚으면 누군가는 파산한다.
7) 은행은 갚을 능력이 없는 사람에게도 대출해 준다.
8) 달러를 찍어내느 FRB는 민간은행이다.
PART2. 위기의 시대에 꼭 알아야 할 금융상품의 비밀
1) 재테크 열기는 우리를 위한 것이 아니었다.
2) 은행이란 수익을 내야 하는 기업일 뿐이다.
3) 8%의 이자를 주는 후순위채권의 비밀
4) 은행은 판매수수료가 많은 펀드를 권한다
5) 보험, 묻지도 따지지도 않다가 큰코다친다
6) 파생상품은 투자를 가장한 도박과 같다
7) 저축만으로는 행복해질 수 없다
8) 금융지능이 있어야 살아남는다.
PART3. 나도 모르게 지갑이 털리는 소비 마케팅의 비밀
1) 어릴 때부터 우리는 유혹당한다
2) 쇼핑할 때 여자가 훨씬 감정적이다
3) 보안용 CCTV가 당신을 지켜보고 있다
4) '사고 싶다'고 느끼면 '필요한' 것 같다
5) 소비는 불안에서 시작된다
6) 필요하지 않아도 친구가 사면 나도 산다
7) 과소비는 상처받은 마음이다
8) 자존감이 낮으면 더 많은 돈을 쓴다.
PART4. 위기의 자본주의를 구할 아이디어는 있는가
1) 금융위기는 반복해서 일어난다
2) 노동만이 최상의 가치다_아담 스미스의 [국부론]
3) 쉬지 않고 일해도 왜 가난한가_ 칼 마르크스의 [자본론]
4) 실업률을 낮출 정부의 개입을 권하다_케인스의 거시경제학
5) 정부가 커지면 비용도 늘어난다_하이에크의 신자유주의
PART5. 복지자본주의를 다시 생각한다.
1) 국민소득이 오른면 내 소득도 오른다?
2) '복지=분배'는 오해다
3) 복지는 창의성의 원천이다
4) 시장도 정부도 아닌 국민이 주인이다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P23 '돈의 양'이 끊임없이 많아져야만 한다. 그것이 바로 자본주의 사회이다. 돈의 양이 많아지지 않으면 우리가 살아가는 자본주의 사회는 제대로 굴러갈 수 없다.
☞ 자본주의에서 인플레이션은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자본주의의 특성을 이해하고 가치가 있는 자산을 저평가되었을 때 사서 보유해야 한다.
P32 지불에 대한 약속입니다. 신용인 거죠. 모든 돈은 신용이에요.
☞돈은 신용이다. 약속에 지키는 것, 나의 말에 대한 책임, 책임질 수 있는 능력과 성실함을 길러가는 것, 신용을 기르는 것이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아남는 방법이다.
p61 인플레이션 후에 디플레이션이 오는 것은 숙명과도 같은 일이다.
☞ 자본주의에서 사이클은 존재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나는 이와 같은 사이클 안에서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p65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쟁'이라는 것은 필연적일 수밖에 없다. 시스템에는 없는 '이자'가 실제로는 존재하는 한, 우리는 다른 이의 돈을 뺏기 위해 끊임없이 경쟁해야만 한다. 저마다 살아남기 위해 필사적으로 싸운다. 바로 이것이 우리가 매일 '돈, 돈, 돈'하며 살아가는 이유이기도 하다. 노래하고 춤추는 동안은 낙오자가 없기 때문이죠. 하지만 음악이 멈추면 언제나 탈락자가 생깁니다.
☞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파산하는 사람이 있는 것은 당연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p 68 젊은 세대들이 일자리를 찾기는 앞으로도 어려울 것입니다. 세계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죠. 무슨 일이든 하는 게 일이 없는 것보다 낫다는 걸 깨닫기 바랍니다. 경험, 제시간에 나가는 것, 낮은 자리에서 시작해서 승진하는 능력, 이런 것들이 노동을 아예 안 하는 것보다 나을 것입니다.
☞ 우리는 '생존'해야 한다. 살아남기 위해서는 작은 것이라도, 낮은 위치에서라도 미래를 위해 끊임없이 뭔가를 하면서 새로운 희망을 만들어가야 한다. 비록 지금은 그것이 마음에 차지 않더라도 계속해서 도전하며 생존을 꿈꾸어야 한다. 자본주의 세상에서는 추운 겨울을 지내고 하면 따뜻한 봄이 오기 때문이다.
p 186 금융계의 윤리란 존재하지 않는다. 은행, 헤지펀드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도덕 관념이 전혀 없고 온갖 수단을 동원해 오로지 돈을 버는 데만 집중한다.
☞ 상품에 대해 정확하게 알고 가입해야 한다. 제대로 설명해 달라, 모르겠으니 다시 설명해달라, 이 상품이 얼마나 위험한 상품이지 확실하게 알려 달라'고 말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p275 자본주의 사회에서 쇼핑은 패배가 예정된 게임이다. 우리가 자본주의 사회를 살면서 정말로 행복하고 싶다면, 소비에서 행복을 찾기 보다는 내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 맺음에서 답을 찾아야 할지도 모른다. 내 안의 감정을 관찰하고,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 개선에서 스스로의 자존감을 회복하는 과정, 그 속에서 우리는 진정한 행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올바른 소비를 하자. 가계부를 쓰자. 카드를 자르고 체크카드를 쓰자
p345 이제 우리는 케인스와 하이에크를 넘어서는 또 다른 대안이 필요하다.
p385 자본주의가 가지고 있는 강력한 성장엔진을 우리 모두가 나누어 써야 할 때가 된 것이다. 낙오자가 될 수 있다는 사람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소득의 불균형을 해결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더 행복한 자본주의를 만들어낼 수 있다.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자본주의의 탄생과 역사를 이해하게 되면서 인플레이션의 필연적 과정, 인플레이션 후의 디플레이션과 같은 사이클에 대해 깊이 이해하게 되었다. 또한 자본주의에서 올바른 소비가 필요하다는 것도 깨닫게 되었다. 정말 많은 생각을 하면서 소비해야 한다.
인플레이션을 이해한다면 가치 있는 자산이 저평가되었을 때 용기를 내서 매입해야 한다. 또한 소비를 정말 신중하게 해야 한다.
월부 안에서 공부하며 기회가 왔을 때 용기를 내자. 가계부를 쓰고 체크카드를 쓰자.
5. 책을 읽고 논의하고 싶은 점은?(페이지와 함께 작성해 주세요)
P 61 인플레이션 후에 디플레이션이 오는 것은 숙명과도 같은 일이다. -중략- 돈이 돈을 낳고, 그 돈이 또다시 돈을 낳으면서 자본주의 경제는 인플레이션으로의 정해진 길을 걷고, 그것이 최고점에 이르렀을 때 다시 디플레이션이라는 절망을 만나게 된다. 이것은 자본주의가 가지고 있는 부인할 수 없는 '숙명'이다.
자본주의에서 통화량의 증가와 이자로 인해 물가의 인플레이션이 있다. 또한 인플레이션 후에는 디플레이션이 있는 사이클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자본주의의 원리 안에서 우리는 어떻게 자산을 만들어가고 그 자산을 지켜야 하는지 월부 안에서 배우고 있다.
이러한 자본주의 안에서 나는 어떤 자본주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했는가? 복기해보고 앞으로 내가 놓친 자본주의의 특성을 어떻게 적용시켜 다음을 준비해가야 할까?
6. 연관 지어 읽어 볼 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부자의 그릇
7. 조편성 구글폼 제출하기
https://forms.gle/LFWwfSGZELm3HBgu9
댓글
안그래도 1강듣고나서 자본주의책 읽어봐야겠다고 생각했는데 벌써 읽으셨군요ㅎㅎ 바쁘실텐데 틈틈이 독서하시는 모습 멋있으세요ㅎㅎ 저도 이주차에는 독서도 병행해야겠어요!!👍✨